[이데일리 김정남 강신우 기자] 공무원연금은 우리나라 연금제도의 시초다. 지난 1960년 이승만정부 당시 도입됐다. 군인연금(1963년)과 사학연금(1975년) 등 공적연금의 모태 같은 존재인 셈이다. 국민연금(1988년) 보다는 무려 28년이나 전에 생겨났다.
문제는 1993년부터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때 공무원연금 재정이 처음으로 적자가 났기 때문이다. 연금을 지급한 금액이 납입된 금액보다 더 많아진 것이다. 이때부터 ‘더 내고 덜 받는’ 식의 공무원연금 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차츰 나왔다.
그럼에도 재정 적자는 여전히 골칫덩어리였다. 특히 3년 후 문제가 극에 달했다. 1998년 외환위기가 닥치면서다. 공무원사회에 명예퇴직 바람이 불기 시작했고, 자연히 연급 수급자가 급증해 적자 규모는 더 커졌다.
이명박정부 당시인 2009년에 한차례 더 개혁이 성사됐다. 기여율(5.5%→7.0%)은 올리고, 지급률(2.1%→1.9%)은 낮추는 방식이 골자였다.
다만 여지껏 이뤄졌던 세차례 개혁 작업은 모두 모수개혁에 그쳤다. 공무원연금을 수술해야 하는 ‘몸통’은 건드리지 못한 미봉책에 불과했다는 평가가 상당하다. 한 연금 전문가는 “(세차례 개혁은) 오히려 국고에 더 의존하는 결과를 초래해 버렸다”고 말했다. 올해는 과연 공무원연금의 틀 자체를 바꾸는 구조개혁에 성공할 수 있을까.
▶ 관련기사 ◀
☞ [공무원연금 개혁 분수령]①개혁 명운 가를 막지막 일주일
☞ [공무원연금 개혁 분수령]②모수개혁이냐 구조개혁이냐
☞ [공무원연금 개혁 분수령]③'핵심쟁점' 노후 소득대체율은 무엇
☞ [공무원연금 개혁 분수령]⑤선진국 연금개혁은 어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