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국 화장품 수출액은 9억9287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5억1162만달러)과 비교했을 때 94.1% 뛴 수치다. 전체 화장품 수출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0.7%나 된다.
업계에서 체감하는 중국 의존도는 더 크다. 국내 실적으로 계산되는 면세점 매출의 절반 이상을 중국인이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홍종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국내 면세점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올린 매출액 중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중이 85.7%로 나타났다. 국내 면세점 총 매출의 57%에 달하는 수치다. 또 전체 매출의 절반 가까이(45.5%)가 화장품에서 나왔다.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중국 의존도가 얼마나 큰지 단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문제는 높은 중국 의존도에 비해 너무나도 취약한 기반에 있다. 현재 중국에서 정식 채널을 갖춘 회사는 아모레퍼시픽(090430), LG생활건강(051900), 미샤 등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K-뷰티로 성장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위생 허가를 취득하지 못하고, 암암리에 보따리상이나 관광객이 사가는 비공식 채널로 매출을 올리는 업체가 대부분”이라며 “중국 정부에서 위생 허가를 받은 품목만 들여오거나 통관 액수를 조정하는 식의 제재를 가하면 우리나라 화장품 매출의 몇 퍼센트가 날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파란색 마스크팩으로 중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리더스코스메틱도 200여가 넘는 품목 중 위생허가를 취득한 제품은 15개 안팎에 불과하다. 이 밖에도 중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마유크림 등은 대부분 위생허가를 취득하지 못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12년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발언 이후 일본인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호텔 업계 타격이 적지 않았다”며 “최근 들어 북한 미사일 발사, 사드 배치 등으로 중국 정부와의 마찰이 적지 않은데 만일 중국 정부가 경제 보복을 가한다면 가장 호황을 보고 있는 화장품 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아모레퍼시픽, 교육서비스업 등 2종 사업목적 추가
☞아모레퍼시픽, 1주당 1350원 현금배당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