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의료업계는 여전히 메르스 후유증에 신음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 당시 동네 의원과 병원급 의료기관 등 의료계가 입은 직·간접적 피해 규모는 1조원을 상회한다. 아직 피해보상을 온전히 받지 못한 병원들 중 일부는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해 고사위기에 처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매년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던 외국인 환자들의 발길도 주춤하다. 지난해 국내 병원에서 유치한 외국인 환자는 총 26만 7000명으로 6년 전인 2009년보다 4배 넘게 늘었다. 같은 기간 진료수익은 약 10배나 급증했다. 하지만 지난 5월 이후 메르스 공포로 병원들은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강남 A성형외과 원장은 “중국 등 해외 환자들이 성형 진료를 받기 위해 오면 수천만원씩 쓰는 경우가 흔했지만, 지난 6~7월에는 단 한명의 외국인 환자도 받지 못했다”며 “조금씩 다시 환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올해 매출 급감은 불 보듯 뻔하다”고 전했다.
반면 정부는 정작 가장 중요한 감염병 관리 컨트롤타워 부재, 부실한 병원 내 감염관리, 상급병원 쏠림 등 현안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두루뭉술한 대책과 정책제언에 그치고 있다. 위기에 놓인 병원들이 원하는 것은 단기 매출 회복이 아니라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에 대한 환자들의 신뢰 회복이라는 점을 정부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