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의 선거 공약은 ‘모두가 행복한 인천 교육’이다. 교사와 학생을 위한 교육정책을 펴겠다는 생각이 이 슬로건에 담겼다. 박 후보는 “교사와 학생이 주인이 되는 교육정책을 펴고 싶다”며 “교사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교사가 소명의식을 갖고 학생들을 가르치게 하겠다”고 했다.
그의 또 다른 목표는 교육감 선거에 대한 개혁이다. 교육감에 출마하며 ‘3무(無)’를 들고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교육감에 출마하면서 출판기념회·후원금·모금운동이 없는 선거를 해보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어려운 일이지만 돈 선거로 변질된 교육감 선거를 개혁하려면 누군가는 희생을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이 약속을 지킨 그는 선거운동 기간에 앞서 또 다른 ‘3무(無)’를 공약했다. 유세용 트럭·스피커·율동운동원을 쓰지 않겠다는 것이다.
교육감 선거는 후보자들의 당적이 없는 데다 유권자의 관심도가 낮아 흔히 ‘깜깜이 선거’로 불린다. 박 후보는 진보·보수 어느 쪽도 아닌 ‘중도’를 표방한다. 교육에는 진보도 없고 보수도 없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오히려 교원단체나 노동조합을 등에 업고 당선되면 자신의 소신을 지키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충남 서천 출생인 박 후보는 행정고시 31회 출신으로 교육부에서 대학학무과장·기획총괄담당관·평생직업교육국장·지방교육지원국장 등을 역임했다.
박근혜 정부 당시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을 놓고 정부와 교육감들이 대립할 때 담당 국장인 지방교육지원국장을 맡았던 그는 교육부 내에서 정부 입장과 상반된 주장을 폈다. 그는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은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며 2조2000억 원의 예산을 신청했다가 전액 삭감된 뒤 정권의 눈 밖에 났다. 2015년 인천교육청 부교육감으로 좌천됐다.
“3년 3개월간 인천에서 부교육감·교육감권한대행을 맡아 일하면서 제가 고민한 교육정책을 현장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교사·학부모·학생의 변화를 살필 수 있는 교육감 직에 매력을 느꼈죠.”
박 후보는 결국 공직사퇴 시점(3월 15일) 직전에 교육감 출마를 결심했다. 정년을 8년 남기고 선거 출마를 위해 퇴직을 선택한 것이다.
박 후보는 부교육감·교육감권한대행으로 재직하면서 특수학교 3곳의 설립을 확정했다. 17년 만에 특수학교 1곳을 설립하려던 서울에서 갈등이 격화됐던 일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비결을 묻자 박 후보는 “꾸준한 설득의 결과”라고 했다. 그는 “교육감에 꼭 당선돼 인천의 교육개혁을 완성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