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가 13일 기획재정부 등과 공동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성과 지표 총 16개(청년·여성 일자리 창출 수 포함 시 18개) 중 현재 목표치를 달성한 것은 공공기관 부채비율 등 6개에 불과했다. 이는 100점 만점에 37.5점을 받았다는 뜻이다. 대학 학점 기준으로는 A에서 F까지 5개 구간 중 ‘F’에 속하는 낙제점이다. 정부 공식 통계를 통해 이런 사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1월 기자회견에서 처음 추진 계획을 밝힌 후 그해 2월 25일 발표한 이른바 ‘박근혜식 성장 모델’이다.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본떴다. 이달 25일은 3개년 계획 발표 3주년으로, 모든 계획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박 대통령은 당시 3대 추진 전략, 9+1과제(통일시대 준비 포함), 59개 세부 실행 과제를 바탕으로 ‘국민 행복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잠재성장률 4%대, 고용률 70%, 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4·7·4)라는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2013년 160.3%였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2분기 173.6%로 치솟았다. 정부 목표인 160% 초반을 훌쩍 넘어선 것이다. 정부의 부동산 경기 부양 정책으로 인해 빚 내 집 산 가구가 급증한 탓이다.
정부는 올해까지 청년, 여성 고용률을 47.7%, 61.9%로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이 역시 42.3%, 56.2%(작년 기준)에 머물며 목표에 한참 못 미쳤다.
특히 지난해 ‘근로손실일수’는 사상 최고인 201만 2000일에 달하며 정부 목표(62만 6000일)를 세 배 넘게 초과했다. 대화와 타협 없는 일방통행식 국정 운용이 부른 화근이다.
이호승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당시 관련 부처를 독려하기 위해 목표를 다소 공격적으로 잡은 측면이 있었다”며 “목표치는 올해까지 달성하겠다고 한 것이므로 연말까지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기재부는 한국개발연구원(KDI)에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백서 제작을 맡겼고, 3주년이 되는 이달 25일을 전후해 관련 자료를 배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