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도 그럴 것이 한국전력은 전기요금을 올린 가운데 발전변동비 단가가 하락하고 발전믹스까지 나아지며 영업이익이 2013년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영업익이 전년보다 4배 증가한 6조원을 웃돌 것이라고 시장은 본다. 올해 순이익에는 본사 부지 매각차익인 8조원이 포함된다. 배당할 수 있는 실탄이 두둑하게 마련된 셈이다.
아무 기업이나 배당을 늘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배당 재원인 실적이 뒷받침될 때 주주환원도 고려할 수 있다. 하나대투증권은 2013년 결산배당을 앞두고 전년 대비 확대된 배당을 발표한 기업은 실제 실적 또한 호조를 보였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이익 안정성 역시 중요한 요소다. 통신, 유틸리티, 금융 등 경기순환(Cyclical)에 민감하지 않은 업종이 대표 배당주로 꼽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들 업종은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신규 투자도 상대적으로 적다.
이남룡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주주 입장에서도 이익 상당수를 성장재원으로 재투자하는 기업에 배당을 늘리라고 강요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면서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든 업종일수록 신규 투자 수요가 적어 배당 확대 여력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
장희종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현금유보금이 많고 지난해 실적이 좋으면서도 배당수익률이 1% 안 되거나 배당성향이 낮은 기업에 정부의 압박 강도가 세질 것”이라며 “주주총회가 집중된 3월, 연기금과의 표 대결이 벌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미 정부 지분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공기업부터 본보기로 나섰다. 정부는 정부출자기관의 배당성향을 2020년까지 40%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부로선 배당을 늘려 재정건전성도 제고하고 민간기업 압박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한전과 함께 한국가스공사(036460), 지역난방공사(071320), 기업은행(024110)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지자체나 공공기관이 지분을 보유한 한전KPS(051600), 강원랜드(035250), 한전산업(130660) 등도 관심 대상군이다.
민간기업 중에서는 대주주 지분이 높은 기업이 배당을 늘릴 가능성도 그만큼 크다. 배당 확대라는 정부의 정책에 부응하면서도 대주주도 배당 이익을 늘릴 수 있다.
이기욱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최근 배당지수 관련한 상장지수펀드(ETF) 출시가 잇따르고 있어 수급 면에서도 지수에 포함된 종목에 매기가 쏠릴 것”이라며 “유동 시가총액이나 거래대금 규모가 작거나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일수록 수혜를 볼 수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배당 성향을 파악할 땐 주가 수준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공원배 현대증권 연구원은 “배당액이 줄어들더라도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할 땐 주가 대비 주당배당금(DPS)이 올라가는 착시 효과가 생긴다”며 대표적 사례로 에너지·화학, 건설기계, 조선업종 등을 꼽았다.
▶ 관련기사 ◀
☞[특징주]한국전력, 실적 기대감… 나흘 만에 4만원 회복
☞한국전력, 기대치 부응하는 실적 낼 것…'매수'-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