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통화정책은 이미 긴축으로 돌아섰고 이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을 재정쪽에서 받쳐줘야 한다”고 밝혔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미국도 한국도 재정은 경기에 초점을 두고 통화정책은 인플레와 자산가격 불균형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며 “엇박자처럼 보이지만 두 정책의 타깃이 다를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서는 안 된다는 게 중론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두 차례 올려 올해 말 기준금리가 연 1.50%가 되는 게 적당하다고 밝혔다. 대신증권은 연 1.25%에 머물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대규모 가계부채 부실화 등 경기둔화 우려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단기 금리 연동 국가여서 국고채 3년물 금리가 2% 위로 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재정 확장과 통화 긴축이 조화를 이룰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정부는 코로나로 경제가 어렵다면서 확장 재정을 하고 한은은 경제가 괜찮다고 하면서 긴축을 하고 있는데 좀 이상하다”며 “한 쪽은 돈을 풀고 다른 한 쪽은 돈을 죄면서 한쪽에선 군불을 때고 다른 쪽에선 동시에 에어컨을 켜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통화정책은 경기, 물가 전반을 보면서 대응하고 재정정책은 통화정책과 보조를 맞춰 정책 여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은은 금리 인상 카드를 소진하고 정부는 재정정책 여력을 소진할 수 있다”며 “특히 재정 정책은 장기적으로 코로나에 달려 있지만 국가 채무나 재정건전성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