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연구위원은 22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대응 방안을 논의할 때 지소미아를 협상 카드로 쓸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당장 종료하면 안보전략상 부담이 크니 1년 유예하는 방안을 구상했는데 정부가 강경하게 나오면서 종료를 선언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는 “일본의 동아시아 전략을 생각하면 지소미아는 처음부터 체결하지 않는 게 맞았고, 이번에도 감당할 수 있다면 이미 나온 상태라면 다시 들어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구도대로 하면 지금까지 수평관계였던 미일-한미 동맹이 수직관계로 변하게 된다. 한국이 일본 밑으로 들어간다는 얘기”라며 “그러면 일본은 한반도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지소미아와 악사(ACSA·한일상호군수지원협정)”라고 설명했다. 또 일본이 2015년 국회에서 강행 처리한 안보법제 역시 같은 취지를 갖고 있다고 그는 언급했다. 안보법제는 △중요영향사태법 △존립위기사태법 △무력공격사태법으로 한반도에서 전쟁이 났을 경우 일본이 개입할 수 있는 국내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그는 “지소미아 종료는 일본의 한반도 개입 법적 근거를 끊어버리는 것”이라며 “그만큼 우리의 외교안보적 공간이 넓어지게 된다”고 했다.
지소미아의 실효성에 대해선 “지소미아는 일본에게 중요하다. 우리도 없는 것보다는 낫겠지만 치명적이진 않다”며 “우리가 그동안 일본에게 받은 북한 미사일 정보는 탄착점이었는데, 앞으로 군 정찰위성을 도입하면 일본의 도움은 필요 없다”고 우려를 차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