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산업은 고용의 약 70%, 총생산의 약 60%를 차지하고 90년대 이후 일자리 창출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 등 우리 경제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경제구조 선진화, 창조형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서비스산업 발전은 꼭 달성해야할 과제라는 것이다.
현 부총리는 “서비스 산업의 외적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는 물론 국내 제조업과 비교할 때 생산성이 낮고 대외 경쟁력도 취약한 상황”이라면서 “관광, 보건·의료, 교육 등 분야에서 성과를 거뒀지만 이해관계 대립 등으로 성과가 미흡한 사례가 상당수 있었다”고 이번 정책 마련 배경을 설명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먼저 서비스산업 인프라 확충 및 현장애로 해소방안을 위해 세제·금융·중소기업 분류·공공요금 등과 관련 제도를 서비스업에 불리하지 않게 합리적으로 개선키로 했다. 또 콘텐츠산업 진흥계획을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콘텐츠펀드를 확대 조성하고 창작과 창업 공간 확충, 해외진출 지원 및 저작권보호 강화 등의 발전 전략을 제시키로 했다.
정부는 향후 관광, 사업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유망서비스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순차적으로 마련해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지역공약 이행계획’을 통해 오는 5일 106개 지역공약 이행을 위한 재정소요와 추진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현 부총리는 “향후 관련 절차를 거쳐 사업별 우선순위에 따라 국가재정 운용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안 편성시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