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7일 개최한 긴급경제장관회의에서 민간 활력 높이는 데 건설투자의 역할이 크다”며 “이를 위해 필요한 건설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인위적 경기부양책을 쓰는 대신 국민생활여건을 개선하는 건설투자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명박정부 때 나온 ‘4대강 사업’처럼 대규모 토목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대신 체육·문화 시설 확충, 노후 인프라시설 개·보수 등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에 주력하겠다는 얘기다.
대통령이 건설투자 카드를 꺼내든 것은 GDP를 단기간에 끌어올리는 데 건설만큼 효과적인 부양책이 없다고 판단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건설투자액은 8조7830억원으로, 작년 초 10조5640억원을 기록한 이후 매달 8조~9조원대에 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 정부가 건설산업에 대한 정치적 잣대를 들이대면서 타이밍을 놓친 측면이 있다고 봤다. 이홍기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권 초기 건설산업을 적폐시하면서 이후 건설투자가 급격히 줄어든 영향이 크다”며 “특히 지난해는 전체 건설 투자의 70% 가까이 되는 민간부문 투자가 급격히 감소해 경제성장률 하락이란 결과로 이어졌다”고지적했다..
다행히 내년에는 SOC 예산을 올해보다 12.9% 많은 22조3000억원 편성하고, 광역교통망 확충에 나서면서 경제성장 기여도를 끌어올린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 위원은 “민간투자가 줄어들면 공공투자가 버팀목 역할을 해야하지만, 작년 추경 때 SOC예산이 예상보다 적게 편성되는 바람에 그 여파가 지금 온 것”이라며 “다행히 내년 SOC예산은 늘렸지만, 그 효과는 빨라야 내년 하반기에나 나타날 것”이라고 봤다.
하지만 민간부문 건설투자가 내년에도 증가하기 쉽지 않아 정부 기대만큼 경제성장 기여도가 증가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날 대통령이 “서민을 위한 주거공급을 서둘러 확대하겠다”고 말했지만, 이는 수도권 3기 신도시 공급을 말한 것으로, 민간투자 감소의 주된 원인인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여전히 규제속에 발주물량이 나오기 어려운 구조다. 이 위원도 “내년 민간투자 증가율이 완전한 플러스로 전환하지 않는 한 정부가 기대하는 만큼의 성장률이 나오기는 어렵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