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선생님들이 학생들과 이 문제를 두고 수업을 진행했던 사례는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날 수업은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진행했고 역사적 사실과 연구에 기반한 검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교재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수업을 듣는 청소년들에게 인권과 평화 감수성을 일깨우는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한 점은 무엇보다 큰 수확이다.
어떻게 보면 ‘위안부’ 피해가 발생한 지 최소 70년이나 지난 지금 학교에서 제대로 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때늦은 감이 있지만 식민청산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독립운동이나 일본 식민통치에 대한 비판적 교육은 적지 않았지만 강제동원 피해자나 ‘위안부’ 피해자 등 피해자에 관한 교육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라도 그러한 피해자에 관한 교육이 본격화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아베 정권은 한 걸음 더 나아가 2014년 11월 미국 뉴욕주재 일본 총영사관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기술하고 있는 미국 맥그로힐 출판사에 해당 기술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가 거절당한 바 있다. 또 2015년 3월에는 일본 외무성이 독일 교과서들의 관련 기술에 대해 수정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일본의 이 같은 움직임은 ‘위안부’ 피해를 여성에 대한 전시(戰時)성폭력이라는 여성인권 유린과 반(反)인도적 범죄행위라는 관점에서 인식하고 교육하는 세계적 흐름을 뒤집어 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우리 사회 일각에서도 일본 논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해 ‘위안부’ 피해를 ‘불결한 돈벌이’나 제국주의 일본에 대한 동조나 충성심 정도로 치부하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그 같은 생각을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에게 전파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보도가 나오기도 한다.
이 같은 현실을 생각한다면 한국은 대표적인 식민지 피해국으로 ‘위안부’ 피해와 범죄성을 담은 교육자료를 더 많이 만들어내 피해국과 전 세계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그것은 이 문제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보편적 문제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