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부 들어서도 끊임없이 이어지던 부처 이기주의 논란은 지난 26일 현대차 싼타페와 쌍용차 코란도 연비 사후검증 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오면서 다시 불붙었다.
동일한 차량에 대해 국토부는 ‘부적합’으로 과징금을 부과한 반면, 산업부는 ‘적합’ 판정을 내린 것이다. 합동 브리핑에서도 두 부처는 이견을 좁히지 못해 각기 다른 결과를 발표하는 촌극을 빚었다.
이 과정에서 중재에 나서 의견을 통일 시킬 의무가 있던 국무조정실과 기획재정부는 ‘통일된 결론을 내리지 못해 송구하다’는 의견을 내놓으며 스스로의 무능함만 보여줬다.
문제는 이런 부처간 갈등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저탄소차협력금(자동차 탄소세) 도입을 놓고 벌어지고 있는 환경부와 산업부의 기싸움이 대표적이다.
두 부처는 기획재정부 중재로 3개 부처 산하 국책연구기관에 지난 3월부터 공동 연구영역을 맡기면서 이견 좁히기를 시도했지만 이 역시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그런가하면 박근혜정부의 국정 과제 중 하나인 유치원·보육기관(유보)통합 역시 부처 이기주의로 여전히 표류 중이다. 관련 부처인 교육부와 복지부에서 통합보다는 각자 밥그릇 싸움에만 열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담배 포장에 흡연 경고그림을 의무적으로 넣는 방안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는 복지부와, ‘미국에서 위헌 판결이 났다’면서 미적지근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기재부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부처 이기주의에 따른 정책 혼선으로 인한 피해는 소비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수밖에 없다. 주요 추진 정책마다 컨트롤타워 부재가 여실히 드러나면서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 추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따라서 ‘부처 이기주의 타파’가 내달 출범할 예정인 최경환 경제팀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후보자는 지난 4월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부처 이기주의를 극복하지 않는다면 규제 혁파에 성공하지 못한다”고 언급, 부처 이기주의 해소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