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강경록·박종오 기자]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명동에서 만난 중국인 관광객 장메이(여·27) 씨. 지하철 명동역을 따라 늘어선 5개 중대형 호텔 대신 근처의 30실 규모 레지던스(생활형 숙박업소)에서 친구와 함께 묵고 있다고 했다. 두 명 숙박비가 8만원 정도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장씨는 “시설이 호텔만큼은 아니지만 깨끗하고 돈을 아꼈다가 화장품 등을 더 살 생각”이라고 말했다. 조일상 하나투어 과장은 “최근 자유여행을 하는 실속형 요우커가 많아지면서 중저가 숙박시설을 찾는 수요가 늘고 있다”고 귀띔했다.
관광의 질을 결정하는 인프라스트럭처로 교통·문화기반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숙박시설이다. 여행시간의 절반을 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숙박 여건은 규모와 다양성 면에서 일본에 크게 못 미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일본에는 호텔 9809개(82만 7211실), 전통 온천여관인 료칸 4만 3363개(73만 5271실) 등이 있다. 이 둘을 합쳐 156만여실에 이른다. 중국 최대 명절인 지난 춘절 연휴(2월 18~22일)에 일본을 찾은 중국인(45만명)이 단 하루에 몰려도 100만실 이상 남는 규모다. 임용묵 한국관광공사 일본팀장은 “일본은 과거부터 자국민의 내수 관광수요가 받쳐줘 숙박시설이 고르게 발달했다”고 말했다.
고급 전통 관광상품이라는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일본 료칸과 달리 한국에는 내세울 만한 대표 숙박상품이 없는 점도 한계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한옥체험 숙박시설은 964곳에 불과한 형편이다 .
▶ 관련기사 ◀
☞ [한국관광위기①] 요우커 모셔가는 日…쳐다만보는 韓
☞ [한국관광위기②] 요우커 한국 건너뛰고 일본 간 이유
☞ [한국관광위기④] "日 바꿀 건 다바꿔 " "韓 말로만 미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