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부터 ‘검색’이라는 인터넷 관문국을 장악한 포털들은 택시, 동영상, 쇼핑, 결제 등으로 영역을 무한 확장하고 있지만, 웹툰이나 멀티채널네트워크(MCN) 영역에선 전문업체들의 공세에 직면해 있다.
통신사들까지 ‘생활가치 플랫폼’을 외치는 가운데 전문회사들이 성장세를 구가하는 이들 업종은 ‘창조경제’의 가치와도 맞아 떨어져 정부는 올해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이같은 신유형 인터넷 사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레진코믹스, 탑툰과 봄툰, 짬툰 같은 웹툰 회사들은 네이버와 다음 웹툰, 카카오 페이지와의 경쟁에서 콘텐츠 차별화로 유료화를 이끌고 있다. 이들은 월간 페이지뷰(PV) 5100만에서 1억 이상을 기록하면서, 영업이익을 내고 있다.
레진은 10~30대로 넓은 고객층을 강점으로 하는 포털들과 달리, 20~30대를 타깃으로 성인물보다는 여성 취향의 웹툰으로 전문 웹툰 시장에서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탑툰은 남성대상 성인물로, 자매사인 봄툰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데 탑춘이 ‘천박한 년“이나 스릴러 ’범도‘로 고객을 모으는 반면, 봄툰은 ’조선 변호사‘ 같은 작품이 대표작이다.
강홍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터넷은 속성상 편집문화여서 웹툰의 성공은 캐릭터나 웹드라마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인터넷에서 몇 안 되는 킬러 콘텐츠가 웹툰”이라고 평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돈이 되는 웹툰’을 활성화하기 위해 △플래시애니메이션 웹툰, 가상현실 웹툰 등 융합형 웹툰 제작지원에 5억 원을 △영화·게임·캐릭터 등 웹툰 원작 원소스멀티유즈(OSMU) 콘텐츠 제작지원에 10억 원 등을 지원한다.
|
멀티채널네트워크(MCN) 시장도 포털과의 경쟁에서 전문업체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분야다.
MCN(Multi Chanel Network)은 1인 창작자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촬영, 장비, 마케팅 등 비즈니스 기반을 지원하고 채널에서 얻는 광고 수익을 공유하는 사업모델이다.
30~40대 대상 특화 채널을 운영 중인 제다이에는 다음 CEO 출신인 석종훈 씨가 투자했고, 트레져헌터가 투자한 패션뷰티 전문 MCN업체 레페리는 중국 심천 경제특구시에 중국 지사를 오픈하고 비디오 커머스 사업을 준비 중이다. 메이크어스는 중국 현지 크리에이터 88명과 독점 계약을 체결하고 콘텐츠 제작에 나섰다.
|
다만, MCN협회는 네이버나 다음·카카오 같은 포털들은 회원사가 아닌 특별 회원으로 유치해 거리를 둘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오용수 방송산업정책과장은 “1인 미디어 기업을 발굴해 새롭게 등장하는 융합산업을 활성화하고자 한다”면서 “인재 발굴과 양성, 글로벌 플랫폼 연결과 네트워킹 성사가 중요하다. 아시아에서 MCN 비즈모델 허브 구축을 위해 7월에 국내에서 아시아 중심의 MCN 월드 패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