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내년 4월로 예정된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대전에서 국회의원 선거구 증설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선거구 증설 논의는 ‘표의 등가성 원칙’을 지키는 동시에 국회의원 의석 수를 늘려, 충청권의 정치적 힘을 키우자는 논리이다. 선거구 증설에 대한 공감대는 이미 정치권과 시민들 모두에게 형성됐지만 기존의 선거구를 조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득권층인 현역 국회의원들의 찬·반 여부가 최종 변수로 남아 있다. 국회, 행정안전부, 대전시, 대전시의회,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2020년 치러진 제21대 총선 당시 대전의 국회의원 선거구 수는 모두 7개로 특·광역시 중 울산(6개) 다음으로 적은 수준이다. 현재 지역 정치권에서 선거구 증설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꼽는 곳은 대전 서구로 현재 2석인 서구의 국회의원 의석수를 3석으로 늘려 모두 8석을 만들자는 주장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 광주시를 지목하고 있다. 행안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광주시 인구는 142만 5739명으로 대전시 인구인 144만 5221명과 비교해 2만여명(1만 9482명)이 더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지난 1월 말 기준 대전의 선거구별 평균 인구(20만 6543명)가 6대 광역시 선거구 평균 인구(19만 6639명)보다 많은 점 등은 선거구 증설의 긍정적인 요인이다.
그러나 선거구 증설을 위해 넘어야할 난제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선거구를 증설하기 위해서는 타 지역 선거구를 줄여야 하고, 대전에서도 선거구 조정에 따른 현역의원들의 반발도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역의 한 정치권 인사는 “2014년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의원 선거구 상한과 하한의 비율은 2대 1로 정해 졌지만 구체적인 의원 선거구 수는 국회 정개특위에서 결정하는 방식”이라며 “현재 국회의원 선거의 인구 상한선(27만 1042명)과 하한선(13만 5521명)에 맞춰 지역의 국회의원 의석 수를 늘릴 수는 있지만 타 지역의 의석 수를 줄여야 한다는 점에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만 인위적 지역구 획정이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각종 지역 현안과 과제 해결, 국비 확보 등에서 타 지역에 비해 불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번에 여·야가 초당적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