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는 국가경쟁력의 다른 말이기도 하다. 노동가능인구의 감소는 우리 경제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들며, 한국은행은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2036년 우리 경제 성장률이 0%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다양한 정책과 막대한 예산 투입,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계속 하락하고 있다. 그간 저출산 대책은 주로 복지와 출산 관점에서 접근했으나 이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국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관련 주무 부처 외에도 공사 분야 모두 함께 역량을 모아 거시적으로 사회·경제적 구조 개혁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국민에 대한 봉사자인 동시에 모범적 고용주다.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해 공직에 사회·경제적 소수자에 대한 채용 확대와 같은 사회통합을 위한 인사정책을 실시하고 이를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으로 확산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 인구구조로 암울한 미래가 예견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국민과 공직사회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인사정책 방안을 고민해 봐야 한다.
우선 다자녀 가구 부모 채용을 떠올려 볼 수 있다.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다자녀 가구 부모들만 응시할 수 있는 구분모집 전형을 신설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여성이나 남성의 재취업을 돕고 경력 단절을 우려해 임신·출산을 고민하는 청년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자녀 가구의 삶의 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고민해봐야 한다. 다자녀 가구 공무원이 정년에 도달한 경우에도 임기제로 재임용해 가족에 대한 경제적 부양이 가능하도록 길을 열어줘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런 적극적 대책은 누군가의 공무담임권 제약이나 실적주의 원칙 위반, 미혼·비혼 공무원에 대한 역차별 등의 문제 소지가 있다는 걸 인정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도 함께 검토돼야 할 것이다. 출산율 제고는 국가 존립과 관련된 문제다. 확실한 것은 현재의 제도나 정책과는 반드시 관점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