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005930)는 휴대폰·반도체·가전 등 3개 업종에서 선두를 다투고 있고, 현대차(005380)와 현대모비스(012330)는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서 매출 톱10을 차지, 한국 대표기업의 이름값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하지만 유통·패션·제약·인터넷 등 생활 산업에선 아직도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순위는 지난해 매출액을 기준으로 했으며, 여러 업종에 걸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경우는 부문별 실적을 추출해 사용했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1위를 달리는 업종은 가전과 조선 두 곳이다.
TV, 모니터, 백색가전 등 가전 업종에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전 세계 1,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가전 부문에서 482억 달러(한화 약 50조 원) 매출로 소니(164억 달러. 3위)를 3배 가량 앞서며 1위에 올랐다. LG전자도 360억 달러 매출로 도시바(125억 달러), 파나소닉(114억 달러) 등을 제치고 2위에 랭크됐다.
조선업에서는 현대중공업(009540)을 비롯한 6개 국내 기업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중공업이 519억 달러(한화 약 54조 원)로 1위를 차지했고, 대우조선해양(146억 달러), 삼성중공업(142억 달러), 현대미포조선(38억 달러)이 3~5위에 올랐다. STX조선해양(32억 달러)과 한진중공업(24억 달러)도 7, 8위로 순위 안에 들었다.
국내 기업 외에는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과 미쓰이조선이 각각 2위와 6위를 차지했다.
휴대폰, 반도체, 철강 등 3개 업종에선 국내 기업들이 2위에 오르며 일제히 선두와의 격차를 줄였다.
삼성전자는 휴대폰과 반도체에서 각각 1천328억 달러(한화 약 139조 원)와 358억 달러(37조 원) 매출로 애플(1천710억 달러)과 인텔(527억 달러)을 추격했다.
삼성전자의 두 업종 매출은 애플과 인텔의 78%와 68% 규모이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65%와 62%에서 각각 13%포인트, 6%포인트나 격차를 좁힌 것이다.
포스코(005490)는 철강 업종에서 592억 달러 매출로 룩셈브루크 아세로미탈(794억 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업황 부진에도 1위 기업 대비 매출 비중이 71%에서 75%로 4%포인트 높아졌다.
완성차, 자동차부품, 해운, 통신 등 4개 업종에서도 국내 대표기업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완성차 업종에선 현대차가 내로라하는 글로벌 대기업과의 경쟁 속에서 10위를 기록했고, 해운과 통신에서는 한진해운(99억 달러. 7위)과 KT(228억 달러. 10위)가 순위권에 들었다.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SK이노베이션(096770)이 13위(638억 달러)로 국내 기업 중에서는 순위가 가장 높았고, GS칼텍스(437억 달러. 16위), 에쓰-오일(298억 달러. 19위), LG화학(221억 달러. 20위) 등은 20위 안에 올랐다.
아모레퍼시픽(090430)이 화장품 업종에서 그나마 13위(30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1위 로레알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국내에서 ‘유통 공룡’으로 불리는 롯데쇼핑(023530)(270억 달러)은 월마트의 5.7% 규모로, 글로벌 순위권에는 아예 이름조차 올리지 못했다. 국내 제약업계 톱 기업인 유한양행(000100)(9억 달러)도 1위 기업 매출의 1.6%에 불과했다.
국내 인터넷 시장을 장악한 네이버(035420) 역시 매출이 구글의 3.7% 밖에 되지 않는다. 이외에 건설, 방위산업, 우주산업, 주류, 패션 등의 업종에서도 국내 기업은 존재감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