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분기말 결산을 앞두고 전 은행들이 연체관리에 총력을 기울인 동시에 정부가 대출을 독려하면서 대출로 연체를 막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3월말 현재 주요 대형은행들의 연체율은 1.5%수준 안팎으로 1%가 채 안됐던 지난해 12월말보다 급격히 악화됐다.
이마저도 각 은행별로 1000억원대에서 많게는 4000억원이 넘는 부실채권을 상각이나 매각처리 한 덕분에 명목 연체율을 떨어뜨렸다.
다만 매각 및 상각을 하기 전의 실질 연체율 기준으로 할 때 1, 2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나 3월 들어선 상승폭이 다소 줄어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금융(053000)의 주력자회사인 우리은행의 경우 3월말 연체율은 1.78%로 지난 2월의 1.3%보다 악화됐다.
하나금융지주(086790) 자회사인 하나은행도 1.65%로 전달의 1.55%보다 다소 상승했다.
기업은행(024110)의 실질연체율은 아예 2%대로 올라선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은행 한 관계자는 "지난 2월과 비교해선 소강상태라고 보여질 정도로 완만하게 올라가고 있다"며 "전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 연체관리에 올인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은행들마다 테스크포스(TF)팀을 만들어 연체 회수 및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업적평가 때 이에 가점을 두고 있는 상황이다.
감독당국 관계자도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2월말엔 2.67%까지 치솟았으나 3월 이후 2.32%로 낮아졌다"며 "연체관리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경기지표들이 다소 호전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연체율 상승세가 완화된 것을 두고 경기가 좋아지는 신호로 보기엔 아직 이르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정부가 중소기업 및 서민 대출을 독려하면서 대출자들이 이자나 원금 등을 연체하기 직전에 만기를 연장해주거나 또다시 대출을 해주는 등으로 연명해가고 있는 것도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 관련기사 ◀
☞국민銀 본점, 옛 대우센터빌딩으로 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