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서부텍사스산원유(WTI), 브렌트유가 배럴당 70달러대를 회복했고, 두바이유도 70달러 수준으로 상승했다.
유가는 OPEC+가 지난 19일 내달부터 매달 하루 40만 배럴씩 감산을 완화하기로 합의했지만 직후에만 60달러 중후반 수준으로 하락한 뒤 저가 매수에 3일 연속 오른 것이다. 22일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은 배럴당 73.79달러로 전일대비 1.56달러 올랐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71.91달러로 1.61달러 상승했다. 두바이유 현물도 2.76달러 오른 71.43달러였다.
OPEC+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 OPEC 산유국으로 구성된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로,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13개 산유국 모임인 OPEC와 러시아 등 10개 비OPEC 산유국들이 모여 산유량과 가격 수준을 조정한다. 현재 하루 580만배럴을 생산하고 있지만 40만배럴씩 더 많은 양을 생산하기로 했다. 내년 9월까지 단계적인 증산도 계획하고 있다.
정준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팀장은 “유가가 70달러대 넘어간 2분기에도 올해 연평균 유가가 60달러 후반대에서 70달러 사이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바꾸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최근 OPEC+의 감산 합의 영향도 있지만 델타 변이 확산에 따라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 근본적으로 유가를 하향 안정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전 세계 124개국에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몇 달 내 지배종이 될 수 있다고 점쳤다.
정 팀장은 “국내유가는 시차를 두고 국제유가를 반영하는 측면이 있어서 한 달 정도는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지만 이와 별개로 국제유가가 80달러대까지 간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하반기로 갈수록 낮아질 하방 압력이 더 크다”면서 “국내 경제에 물가 상승을 우려할 수준으로 오를 것 같지 않다”고 예상했다.
실제 총 에너지에서 석유류 수요도 최근 급격히 줄고 있다. 일차 총 에너지 중 전년동기대비 석유 수요 증감율은 2018년 -0.6%에서 2019년 -3%,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이 시작된 지난해에는 -5.1%로 나타냈다. 탄소중립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석유, 석탄 등의 에너지원을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로 바꾸고자 하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국제유가 상승률(두바이유 기준)이 33.64%(연평균)에 달하던 2004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4.7%, 물가상승률은 3.6%에 그쳤다. 2005년에도 국제유가 연평균 상승률이 49.37% 수준에 달했지만 물가는 2.7% 증가에 머물렀다. GDP 증가율은 4%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