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신문 | 이 기사는 이데일리신문 2012년 06월 25일자 3면에 게재됐습니다. |
24일 통일부에 따르면 1988년 이산가족 상봉 신청 접수 이후 지금까지 북한에 있는 가족을 찾아달라고 요청한 인원은 모두 12만8708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생존자는 7만7596명으로 조사됐다. 생존자 가운데 47% 이상이 80세 이상 고령이라 이산가족 교류 재개는 어느때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 2000~2007년 햇볕 정책으로 인한 남북 화해 모드로 1만6670명이 북한에 있는 가족과 만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들어 북한의 도발과 정부의 강경 정책으로 2009년 888명, 2010년 886명 등 교류가 간간이 이뤄지다 2010년 10월 추석 상봉을 끝으로 완전히 중단됐다. 그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때문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2010년 11월25일 적십자회담을 열고 이산가족 상봉을 논의하기로 했지만 회담을 이틀 남겨둔 23일 북한이 연평도 포격을 감행하면서 회담이 무산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북한은 정부가 대북 제재 조치를 풀고 경제 지원에서 전향적으로 나오지 않는 이상 이산가족 교류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다. 실제 정부는 지난 2월 북측에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전격적으로 제안했지만 북한은 무반응을 보이면서 사실상 거절했다.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교류는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올해 4월까지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 확인이 5건, 서신 교환이 21건 이뤄졌다. 중국 등 제3국에서 14명이 북한 가족을 만났다.
통일부 관계자는 “2월에 제시했던 실무회담 제안이 아직도 유효하다고 북한에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이산가족 교류가 중단된 상태에서 민간 차원의 교류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