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지원으로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지방대 “생존이 달렸다”
교육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2014학년도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학 12곳, 전문대학 4곳 이상이 새로 선정된다. 사업 첫 해(2012년) 탈락한 대학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생긴 것이다.
대학들이 LINC사업 유치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대학당 평균 40억원의 예산 지원을 받아 기업과 연결하는 산학협력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입생 감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지방대엔 생존이 걸린 문제기도 하다.
LINC사업은 교육부가 가장 공을 들인 산학협력 지원사업이다. 산학협력중심대학사업 등 기존에도 관련 국책사업이 있었지만 사업이 여러 분야로 나뉘다보니 상호 연계효과가 적었고, 산학협력 활동이 공과대학에 주로 편중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상대적으로 정부 지원이 몰렸던 공대에서도 산학협력이 활성화되지는 못했다. 교수들의 경우 업적 평가가 연구실적 위주여서 산학협력 활동에 소극적이었다. 학생들의 현장실습을 지도하거나 기업에 기술자문을 해 줄 시간이 있으면 논문 한 편 더 쓰는 게 유리했기 때문이다.
산업체 경력자 대거 산학교수로 영입
특히 가장 큰 사업 목표를 대학의 체질 개선으로 잡은 게 특징이다. 정부 재정만 투입할 게 아니라 예산 지원을 받는 대학이 학교의 체질을 ‘친(親)산학협력’적으로 개편하도록 만드는 데 주안점을 뒀다. 교수 업적평가 기준을 바꿔 산학협력에 교수들이 적극 나설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 게 대표적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난해 6월 LINC사업 출범 1주년을 맞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사업 시작 전인 2012년 2월과 비교해 현장실습 이수 학생은 1만1630명에서 1만9616명으로 68.7% 증가했다. 산학협력 가족회사 수도 2만3620개에서 3만1135개로 31.8% 늘었다. 특히 기술이전 실적은 603건에서 992건으로 64.5% 증가해 대학이 개발한 기술의 사업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실적이 늘어난 이유로는 교수들이 산학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선 점이 꼽힌다. LINC사업 선정 평가에서 교수평가제를 개선한 대학에 높은 점수를 준 덕분이다.
“교수평가제도, 친 산업적으로 개편해야 유리”
교육부는 올해 최소 16개 대학을 신규 선정, 총 87개교(4년제 57교, 전문대학 30교) 규모로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오는 3월 초까지 대학별 신청서를 접수받아 5월 중 2단계 LINC사업 대학을 최종 확정한다. 기존 사업선정 대학 51개교 중 하위 40%(약 20개교) 가량은 탈락할 가능성이 크다.
사업 선정에서의 당락은 △산학협력 실적(10%) △사업계획(80%) △산업계 만족도(10%)가 가를 전망이다. 특히 평가 배점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계획 부분에서는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 체제 구축’(40%)에 초점을 맞춰 평가가 이뤄진다. 여기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먼저 교수업적 평가 제도를 손봐야 한다. 교수들이 산학협력 실적으로 연구실적 못지않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꿔야 점수가 높다. 또 산업계 경력을 갖춘 산학교수를 영입하고, 산학협력단 조직에 변리사 등 전문 인력을 확충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선정 평가에서는 해당 대학의 구조개혁 실적도 반영할 것”이라며 “최근 2년 동안의 정원 감축, 교육과정 개선, 학과 통폐합 등과 관련된 실적과 계획을 제출받아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