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에선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될 수 있으면 빨리 구체적인 구제안을 마련해 속전속결로 집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시간을 끌수록 혼란만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은행은 물론 채무자의 손실분담 원칙도 강조했다.
금융연구원의 한 연구원은 “국민행복기금은 실행 의지와 타이밍이 중요하다”며 “일단 얘기를 꺼냈으면 뜸들이지 말고 전광석화로 추진해야 잡음 없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공적기금이 투입되는 국민행복기금을 제대로 운영하려면 개인 도산체계를 함께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기금의 역할이 과하면 도산법이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장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부정적인 목소리도 컸다. 실제로 국민행복기금이 언론에 오르내리면서 혹시나 해서 일부러 채무상환을 늦추는 부작용이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성실하게 채무를 갚아온 이들은 왜 우리만 손해를 봐야 하느냐는 반발도 있다.
금융관계기관의 한 임원은 “국민행복기금은 내수회복과 복지 차원에서 일정부분 필요하다”면서도 “공약은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이 불확실하다 보니 빚을 갚을 능력이 있는데도 안 갚는 유인이 될 수 있어 걱정이 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