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한미연합훈련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한반도 정세 관리의 핵심이 될 수 있는 만큼, 중단이라는 방침을 과감히 세워 북한을 다시 대화 테이블로 불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한반도 군사 긴장을 완화해 국민적 지지를 얻고, 바이든 행정부를 설득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는 게 정 부의장의 판단이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당시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 부의장은 21일 저녁 YTN라디오 ‘이동형의 뉴스 정면승부’에 출연해 “한미연합훈련을 지금 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
다만 북한의 추가 도발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북한이) 그렇게 어리석진 않다”며 큰 도발은 없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정 부의장은 “북한이 연초에 8차 당대회를 8일이나 열고 회의를 했다. 다음 당대회까지 5년 동안 달성해야 할 경제 목표를 제시하는 등 경제 발전을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발에 나서 미국을 강하게 압박,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면 경제활동은 올 스톱된다. 그건 자살골”이라고 설명했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초대 국무장관으로 내정된 토니 블링컨 지명자가 최근 상원인준 청문회에서 트럼프식 대북정책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선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정상 간 단판을 짓는 트럼프 정부의 톱다운 방식이 아닌 실무협상에 우선순위를 두는 보텀업(bottom up·상향식)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며 “단계적 동시 행동을 해야만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야기로 해석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라고 했다. 이어 “보텀업이라는 게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러나 소위 예측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런 측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새로운 외교수장에 정의용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을 내정한 것을 두고 잘한 인사라고 평했다. 그는 “미국을 잘 구슬리고 관리할 사람으로서 정의용을 임명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선 “북미관계도 좋아지고, 북핵문제 해결에 속도가 붙으면 김 위원장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올 것”이라면서도 다만 “이득을 챙길 수 있다는 것이 가시권 내에 들어올 때 그것을 챙기기 위해 올 것”이라고 조건부를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