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에선 12일부터 줄줄이 이어지는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보건의료노조, 건설노조, 공공운수노조 총파업에 대한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저지’, ‘정권 퇴진’ 등을 내건 정치파업에 무엇보다 산업계 전반에 미칠 손실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경기침체의 터널을 벗어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기업들엔 이번 민주노총 총파업으로 인한 위기감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
실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며 수출 품목 1위에 오른 완성차 업계는 이번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로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쟁의권을 확보하지 못한 현대차 노조가 파업에 동참하면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2019∼2022년 4년간 무분규로 임금·단체협상을 타결했지만 이번 파업으로 5년 만의 무분규 기록도 깨졌다.
10년 만에 역대급 수주 호황을 맞고 있는 조선업계도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총 107척, 140억7000만달러(약 18조3600억원)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 157억4000만달러의 89.4%를 잠정 달성했고 한화오션은 한국형 차기호위함(FFX) 울산급 배치3(Batch-III) 5·6번함 수주에 사활을 걸고 대규모 투자를 앞둔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금속노조 산하 조선사 노조가 총파업에 합류하면서 선박 인도 및 투자 지연 등이 우려되고 있다. 가뜩이나 인력난으로 고전하고 있는 조선업계의 상황을 전혀 고려치 않은 노조의 일방적 파업에 전방 산업 자체가 흔들릴 위기에 처한 것이다.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민노총 총파업은 국민의 동의를 받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노조의 무리한 요구뿐 아니라 명분 없는 정치 파업으로 인한 손실을 따지면 국민 정서와 정면 배치되는 셈이다. 이제라도 민주노총 산하 산별 노조들은 SK하이닉스의 임금·단체협상 사례를 귀감 삼아 노사 상생 차원에서 총파업을 멈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