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국내 첫 원전 해체 시도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를 준비하는 정부나 한수원의 대응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는다.
당장 원전 해체 비용부터 현실적이지 않다. 또 원전 해체 경험이 전무한 상태에서 해체 비용이 어떤 기준으로 산정됐는지 불투명하며, 향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조차 없다.
정부와 한수원은 여전히 원전이 가장 경제적인 발전원이라고 주장한다. 원전의 1kWh 당 판매단가가 54.96원(2014년 기준)으로 석탄(63.36원), LNG(162.15원), 석유(221.33원) 등보다 저렴하다는 게 그 근거다. 그러나 사용후핵연료 처리·관리 비용, 원전 인근 지역·주민을 위한 지원금 등 각종 사회적 비용까지 감안하면 결코 경제적이지 않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사용후핵연료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까지 짧게는 수만년에서 길게는 수십만년이 걸리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기간 동안의 관리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수원도 고리 1호기에 대해 안전 규정을 충족시키려면 설비 보강 등에 많은 돈을 써야 하고, 인근 지역 주민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 대한 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 관련기사 ◀
☞ 조석 한수원 사장 “韓, 세계 원전업계 이끈다”
☞ 사용후핵연료 ‘골든타임’ 반년 남았다
☞ [원전의 경제학]원전, 과연 경제적인가?
☞ [원전의 경제학]정부, 사용후核 영구처분장 건설 의지 '상실'
☞ [원전의 경제학]원전 해체는 고리 1호기만?
☞ [원전의 경제학]‘덜컥’ 원전 해체부터 결정한 정부
☞ [원전의 경제학]사용후핵연료·원전 해체 고민해야 할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