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 전망 배경에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 유럽중앙은행(ECB) 및 일본은행(BOJ)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등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여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성장세 둔화 등 지켜봐야 할 변수가 여전히 많다는 판단에서다. 대내적으로도 물가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된데다, 각종 경제지표가 완만하지만 개선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당장 기준금리를 변경할 이유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 관측이다.
다만 국내 경기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딘데다, 최근 세월호 참사 여파 등으로 내수부진 우려가 확대되고 있어 한은의 경기 판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향후 기준금리 변경과 관련해서는 올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한 차례 인상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변경이나 만장일치 여부, 이미 매파로 인식된 이주열 총재의 성향보다는 한은의 경기판단 및 경제전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데 입을 모았다. 경기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딘 가운데, 최근 세월호 참사 등으로 소비 및 투자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한은의 올 성장률 전망치 4.0%를 다소 낙관적으로 봤다.
이승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선진국과 신흥국이 한국 수출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인지 불투명하고 물가상승 압력은 여전히 낮다”며 “소비부문도 통신사 영업정지, 부동산 거래 관망세 전환, 단기적으로는 세월호 여파 등 소프트패치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지만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4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금리정상화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 위원이 등장했으나, 단기적으로 세월호 사태가 경제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서 우려해야 할 시점”이라며 “매파적인 어조가 다소 누그러질 가능성이 높고, 이 총재가 세월호 사태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파악중에 있다고 언급한 만큼 관련된 발언내용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향후 기준금리 변경과 관련해서는 내년 상반기 한 차례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이르면 올 하반기 금리인상을 전망하는 의견도 다수 있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에 앞선 선제적 대응은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일부 제기됐다.
신얼 현대증권 연구원은 “GDP갭 역전현상 해소, 안정적인 물가상승률 회복 및 물가안정목표제 범위내 진입 등 한은의 경제전망에 부합할 경우 미 연준이 테이퍼링 종료 후 연방기금금리를 인상하기 전인 내년 1분기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윤여삼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연말께 GDP갭 소멸 및 물가안정 범위 하단 회복에 대한 기대가 유지되고 있는데다, 4월 수출과 물가가 상승 국면이라는 점에서 한은의 기존 경제전망 경로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올해 4분기 금리인상을 점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