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민 부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최저 수준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사회 복지지출은 9%대로, OECD 평균 21%의 절반에 못미치고, 주요 복지국가들의 25~30%에 비해서는 3분의 1 수준이다.
저출산·고령화가 이미 겪었던 주요 복지국가들처럼 복지 지출은 점차 늘어날수밖에 없는 만큼 구조적으로 정부 지출은 늘어 날수밖에 없다. 써야 할 돈은 많아지지만 버는 돈이 적은 만큼 국가 재정건전성 악화는 더욱 심화될 여지가 있다.
증세는 사회적 합의를 거쳐야 하는 부분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증세 없는 복지’를 공약으로 내건 상황에서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김 교수는 기본적으로 소득 공제 및 법인세 비과세 부분만 축소하더라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사실 국내는 여러 소득 공제로 근로자의 40% 이상이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고 있고, 대기업도 여러 연구개발(R&D)을 이유로 비과세 혜택을 많이 받고 있는 구조지만 사실 효과는 크지 않다”면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예외 혜택을 단순화하는 것이라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재정 준칙이 마련되면 결국 증세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며 “국회의원들이 입법권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쉽지 않겠지만 도입되면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거덜난 나라곳간]원칙없는 재정정책·장밋빛 전망에 내년 재정적자 비상
☞ [거덜난 나라곳간]뒷감당 못한 '복지공약病'.. 페이고法 도입은 ‘나몰라라’
☞ [거덜난 나라곳간]재정준칙 운영국가 급증..경기침체 등 예외조항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