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도 입장이 확연히 갈린다. 쇼핑채널 선택권이 확대된다며 반기는 목소리도 있지만, 가뜩이나 많은 홈쇼핑채널이 또 하나 등장하는 것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분위기도 있다. 이데일리는 총 3편에 걸쳐 제7홈쇼핑을 둘러싼 논란을 다각적으로 조명하고, 제7홈쇼핑에 거는 기대와 문제점, 그리고 대안을 살펴본다. [편집자 주]
말 많았던 중소기업 전용 제7홈쇼핑이 결국 내년에 문을 연다. 그간 방송사업자 인허가 권을 쥔 미래창조과학부는 제7홈쇼핑 개국에 부정적 입장이었지만, ‘실세’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강공 드라이브에 결국 입장을 번복했다.
정부가 제7홈쇼핑 개국을 추진하면서 내세운 가장 큰 명문은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 확대다. 값싸고 질 좋은 중소기업 제품이 적절한 유통채널을 확보하지 못해 사장되는 경우가 많으니 공공재인 전파를 활용해 공영 홈쇼핑을 새로 만들어 중기 제품의 판로를 열어주겠다는 것이다.
정부 판단의 기저에는 현행 홈쇼핑 업체들이 중기제품 판로 확대에 별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특히 중소기업 제품을 많이 팔라는 조건으로 방송 허가를 내줬던 롯데홈쇼핑(舊 우리홈쇼핑), 홈앤쇼핑을 바라보는 시각은 차갑기까지 하다.
|
하지만 이들 홈쇼핑도 대기업 계열의 기존 홈쇼핑처럼 프라임 시간대는 중소기업 제품 대신 여성용 의류 등 소위 `대박 상품`을 주로 팔면서 수익성 올리기에 매진했다. 정부가 요구한 중기제품 판매 방송 비중은 새벽시간대 등 비인기 시간에 방송을 내보며 형식적으로 편성 비중을 맞췄다.
정부 관계자는 “중기제품 판로 확대라는 공공성을 이유로 생겼던 홈쇼핑 채널들이 수익에 초점을 맞춘 영업활동에 집중하면서 원래 설립 취지는 희미해졌다”며 “현재 6개 홈쇼핑 채널이 있지만 중소기업들이 제품을 납품하기 쉬운 곳은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중기제품 판매 방송 의무 비중은 없지만 GS샵과 CJ오쇼핑(035760) 등 홈쇼핑 메이저 업체를 바라보는 정부의 시선도 곱지 못하다. 이들 업체들은 공중파 인근 채널권을 확보하기 위해 과도한 송출 수수료를 지급, 홈쇼핑 업체 간 송출 수수료 경쟁을 촉발시켰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홈쇼핑 업체들도 할 말은 있다. 사기업인 만큼 이윤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정부의 인허가 조건에 어긋나게 행동한 적도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송출 수수료 경쟁은 정부가 홈쇼핑 인허가를 남발한 탓이지 업계의 잘못은 아니라고 항변한다.
A 홈쇼핑 업체 관계자는 “홈쇼핑 업체가 과도한 경쟁을 벌이게 된 것은 한정된 시장에 다수의 홈쇼핑 업체를 등장시킨 정부의 책임”이라며 “이러한 배경을 간과하고 또다시 새로운 홈쇼핑을 내겠다는 정부 방침을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
▶ 관련기사 ◀
☞홈쇼핑, 단기 투자심리 부정적..확대 해석은 경계-NH
☞[특징주]홈쇼핑株, 낙폭 확대..제7 홈쇼핑 설립 '우려'
☞[특징주]홈쇼핑株, 제7 홈쇼핑 설립 소식에도 '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