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국무조정실 규제혁신총괄과에 따르면 2019년 1월 도입된 규제샌드박스는 올해 2월까지 4년간 총 861건이 승인됐다. 이중 제도 개선을 통해 정식 서비스가 개시된 사례는 537건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기준 총 승인 건수 632건, 서비스 개시 건수 361건에 비해 1년 만에 각각 약 200건씩이 늘어난 셈이다.
규제샌드박스는 신규 서비스가 출시될 때 일정 기간 기존 규제 적용을 면제 또는 유예하는 제도다. 외형적으로 승인 건수가 늘고 있어 양적 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반대로 보면 규제샌드박스 승인을 받더라도 정식 서비스까지 도달하지 못한 사례가 324건이나 된다. 여전히 37%에 해당하는 스타트업이 좌초하고 있다는 의미다.
|
스타트업 업계에선 규제샌드박스의 신청·승인이 기존 규제를 담당하는 부처여서 적극 행정이 부족한 점도 있다고 지적한다. 스타트업 관계자는 “기존 기득권 산업과 신산업 스타트업들이 충돌할 경우 공무원 조직이 적극적으로 행정에 나설 유인이 크지 않다”며 “우선 규제를 풀어주고 기존 규제에 대한 책임을 부처가 입증하는 식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에서도 꾸준히 신산업을 창출하는 스타트업 발전과 규제 개선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지난 정부에선 민간 출신이 위원장을 맡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만들었고, 윤석열 정부 들어선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를 출범시키며 기능을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역부족인 상황이다.
그는 “공무원들이나 위원회 차원에서도 규제 개선에 대한 적극 행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적극적으로 규제를 개선해야 해당 공무원에게도 실적이나 혜택이 가는 방향이 돼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