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치킨게임' 종결자, 설비투자도 압도

삼성, 하이닉스 CAPEX에서도 선두
CAPEX 규모 축소..무리한 캐퍼증설 자제
  • 등록 2011-03-31 오전 6:01:00

    수정 2011-03-31 오전 6:01:00

[이데일리 류의성 기자] 글로벌 D램업체들의 CAPEX(설비투자)도 양극화 현상이 강해지고 있다. 글로벌 D램 선두업체인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CAPEX 측면에서도 해외 경쟁사를 압도했다.

31일 시장조사업체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2010년 세계 D램업계 CAPEX는 총 110억9500만 달러(한화 약 12조2200억원)로 전년보다 138% 증가했다.

D램 세계 1위인 삼성전자(005930)는 작년 CAPEX에 37억 달러(한화 약 4조700억원)를 쏟아 부어 가장 많은 비용을 집행했다. 2위인 하이닉스(000660)는 22억달러(한화 약 2조4200억원)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위인 엘피다는 7억4000만 달러(한화 약 8100억원)에 그쳤다. 4위와 5위인 마이크론과 난야의 경우 각각 6억 달러(한화 약 6600억원), 7억9000만 달러(한화 약 8700억원)였다. 대만의 이노테라는 19억 달러(2조900억원)를 투자, 중위권업체들보다 더 많은 투자를 집행했다.

관련업계에서는 수익성 면에서 D램업체들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설비투자도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반도체기업들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지난 2008년 불경기 이후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며 "해외 경쟁업체들이 미세공정 전환과 신규 공장을 설립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경쟁력 차이는 더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적기에 투자를 못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수익성은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며 "2008년 이후 해외 경쟁업체들의 재무구조가 상당히 악화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CAPEX 규모 축소..무리한 캐퍼 증설 자제

아이서플라이는 2011년 CAPEX의 경우 작년보다 22% 감소한 87억 달러(한화 약 9조58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삼성전자는 34억 달러(한화 약 3조7400억원), 하이닉스 22억 달러(한화 약 2조4200억원)가 될 것으로 각각 예상했다. 엘피다 4억6000만 달러(한화 약 5000억원), 마이크론 7억2000만 달러(한화 약 7900억원), 난야 4억1000만 달러(한화 약 4500억원)로 전망했다. 이노테라도 5억8000만 달러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CAPEX 규모는 지난 2007년 211억달러로 최대를 기록한 이후 과거보다 크게 낮아진 상황이다. 2008년에는 107억7500만 달러(한화 약 11조8600억원), 2009년은 46억6500만 달러(한화 약 5조600억원)였다. 2012년은 92억 달러(한화 약 10조 13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전반적으로 후발업체들의 투자여력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 선두업체들도 무리한 캐퍼 증설보다는 공정전환 투자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안성호 유진투자증권 팀장은 "앞으로 D램 산업전반에 걸쳐 공급증가 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따라서 향후 수요변수만 개선되면 D램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이고, 수혜는 설비투자를 많이 한 선두업체에 더욱 집중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최근 불안정한 중동사태와 일본 지진 등은 수요 측면에서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 하이닉스 "올 반도체 시황 대체로 양호" 한편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올해 반도체 시황이 대체로 양호할 것으로 전망했다.

권오철 하이닉스 사장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 특히 D램은 2분기부터 수급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고 지난 30일 말했다.

권 사장은 "전반적인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상반기 약세에서 벗어나 하반기로 가면서 수급 여건이 개선되고 시장 환경이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지속되어온 D램 판가 하락이 올 1분기까지 이어지면서 전체 PC시장은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업체들의 미세공정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그러나 고수익의 서버향 제품과 모바일제품 급성장, 스마트폰 고용량 채용 증가, 태블릿PC 출시로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돼 반도체 시황은 대체로 양호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
☞'3D 연구소' 만들어진다.."인체 영향 등 분석"
☞한국 D램 시장점유율 사상 최고 기록 경신
☞파워인터뷰 "반도체주 투자전략" [TV]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 트랙터 진격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