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컴즈(066270)도 해킹 대책중 하나로 주민번호를 저장하지 않고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전자상거래와 같은 서비스를 제외한 사이트에서는 회원가입때 주민번호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검토중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주민번호를 대체할 아이핀(I-PIN) 제도를 2007년 도입했지만 사용자는 360만명 정도에 불과하다. 까다로운 절차 때문에 이용자들이 여전히 주민번호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
해외 사이트의 경우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있으면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본인 인증도 `나의 첫 담임선생님은?` 등 본인만 알고 있는 특정 질문과 답을 입력하는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아직까지 주민번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해선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포털 사업자들은 `제한적인 본인 확인제`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 인터넷 사업자들은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본인 인증을 받고 있다.
네이버의 관계자는 "요즘처럼 해킹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폭탄과 같은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를 받는 것은 포털 사업자에게도 많은 부담이 된다"며 "우리도 외국 사업자처럼 간단히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받고 싶지만 정부가 못 박아놓아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방통위 시각은 다르다.
방통위 관계자는 "본인 확인제 때문에 포털이 주민번호를 요구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는 논리가 맞지 않는다"며 "오히려 포털 사업자들은 이용자의 주민번호를 바탕으로 타 사이트와의 연동, 포인트 교환, 마케팅 등 사업적인 시너지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계기로 인터넷 회원 정보로 주민번호를 아예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중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올 하반기까지는 좀 더 구체적인 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면서 "그간 모든 인터넷 서비스들이 주민번호를 기반해 형성됐기 때문에 사회적인 비용과 여러가지를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선 인터넷뱅킹 등 금융거래를 제외한 인터넷서비스에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이 최선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SK컴즈 "주민번호 저장 안한다"..정보유출 대책 발표
☞`네이트 해킹` 사용자 뿔났다..집단소송·서명운동 추진
☞[특징주]해커에 당한 SK컴즈, 이틀째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