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과 관련해 대통령실 등에서 나타난 최근의 변화는 의료계 반발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해법을 한 발 물러서서 고심해 왔음을 보여 준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8월 25일 내놓은 2026년 의대 증원 유예 제안을 거부한 후 6일에는 즉시 환영 의사를 밝힌 게 대표적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정브리핑에서 “의료개혁을 반드시 해내겠다”고 강조했지만 이 달 4일 한 응급실을 방문한 자리에서는 “의료진에게 늘 죄송하다”며 몸을 낮추기도 했다. 의료 개혁 지지도(한국갤럽)가 56%로 3개월 전(66%)보다 크게 추락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눈여겨볼 것은 여권 내부에서도 거세진 책임자 교체론이다. 교체를 주장하는 이들은 갈등을 조정하고 해결할 책임이 있는 장,차관과 참모들의 무능, 막말이 사태를 더 키웠다고 비판하고 있다. 근거 없는 얘기가 아니다. 특히 “그 사람하고는 죽어도 대화를 못하겠다”는 반발을 의료계로부터 산 관료가 계속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한 사태 해결은 요원하다. 협의체 구성의 전제 조건이 아니라 해도 새 협상 판을 만들기 위해서도 인적 쇄신은 필요하다. 두 걸음 전진을 위한 한 걸음 후퇴 차원에서라도 인사권자와 본인의 결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