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북한은 별다른 반응 없이 첫날 훈련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그러나 아직 예단하기에 이르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한미연합훈련을 남북관계의 근본 문제로 지적하고 중단을 요구한 만큼 군사적 도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군 당국은 8일 “이날 새벽부터 전반기 연합지휘소훈련을 시작했다”며 “훈련은 코로나19 차단을 위한 방역조치를 철저히 시행하는 가운데 예년에 비해 훈련 참가 규모는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
한미연합훈련 시행과 관련해 ‘지혜롭고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던 통일부는 북한을 향해 “(훈련 축소에 상응해) 지혜롭고 유연한 태도를 보여줄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훈련 중단을 요구해왔던 북한이 그냥 지나치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북한은 한미훈련이 있을 때마다 크고 작은 도발을 감행하며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훈련이 사실상 취소됐음에도 그해 3월2일 원산 인근에서 동해안으로 단거리 발사체 2발을 쐈다. 심지어 이날은 문재인 대통령이 3·1절 기념식에서 코로나19 남북 공동 대응을 공개 제안한 다음날이었다.
북한의 도발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5월 우리측 감시초소(GP)로 기관총 4발을 발사했고, 6월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북한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전후를 계기로 관망을 지속하고 있다. 일단 군사적 도발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관건은 반발 수위다.
대북 전문가들은 단거리 미사일 등 재래식 도발 가능성, 혹은 비난성명이나 담화 정도로 그칠 것으로 점치고 있다. 대외 메시지 전반을 관리하고 있는 김여정 당 부부장이 직접 담화에 나설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전략적 관계 선점용이나 체제 결속을 위해 군사적 도발을 감행해온 적이 있어 군사적 긴장을 조성할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며 “삼중고에 빠진 북한의 인내심은 이미 한계에 와 있어 바이든 정부가 대북정책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