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마켓in 안혜신 기자] “중소형 사모펀드 운용사는 판매사 확보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봐야 합니다. 신생 운용사가 살아남을 수가 없는 환경입니다”
옵티머스와 라임 사태 이후 사모펀드 운용사들 간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판매사들이 사실상 일부 대형 운용사 상품을 중심으로 판매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 조원대 펀드 환매 사태를 겪은 판매사 입장에서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셈이다. 하지만 이러한 분위기가 수년 째 이어지면서 중소형 운용사들의 어려움은 커지고 있다.
|
일반적으로 사모펀드 운용사는 펀드를 출시한 후 증권사나 은행 등 판매사를 통해 자금을 모은다. 판매사는 상품위원회 등을 통해 결정한 자체적인 기준에 맞춰 판매 상품을 정한다.
하지만 이는 신생 중소형 운용사들 대부분 채우기 쉽지 않은 기준이다. 따라서 이들은 판매처를 찾지 못해 운용 자금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 새로운 펀드를 의욕적으로 개발하더라도 다시 운용규모 등 기준에 막혀 몸집을 키우기가 쉽지 않은 환경인 것이다. 한 신생 사모펀드 운용사 관계자는 “판매사가 펀드 판매를 위해서 적격운용사를 선정하는데 판단 기준이 상품 종류와 상관없이 일률적이라는 점이 문제”라면서 “기준 자체도 매우 높아져 신생 운용사 입지는 매우 좁아진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모펀드 시장은 지난 2015년 사모펀드 활성화 정책을 타고 급성장했다. 당시 금융위원회는 사모펀드 투자 한도를 5억원에서 1억원으로 낮추고 운용사 설립 기준을 인가에서 등록으로, 펀드 설립은 사전등록에서 사후보고로 간소화했다. 하지만 이후 2019년 라임과 옵티머스 사태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사모펀드 시장의 성장에도 급제동이 걸렸다. 특히 애꿎은 중소형 신생 운용사들의 직접적인 피해가 큰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운용 전략을 구사하고 이를 통해 판매자들에게 투자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사모펀드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부 대형사 위주의 쏠림 현상은 공정한 시장 형성과도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도 보완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면서 “이를 통해 사모펀드에 대한 전반적인 시장의 불신을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