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사무실에서 만난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의 목소리에는 자신에 차 있었다. 그의 자신감과 달리 서울 모터쇼는 지금까지는 국내외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상하이모터쇼와 2~3주 차이로 열리기 때문이다. 상하이로 이목이 쏠리면서 사실 서울모터쇼는 관심밖이었고, 이러다보니 신차 한두 대 섭외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IT+자동차‥“서울모터쇼 한국판 CES로 판 키우겠다”
|
실제로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는 가전 전시회임에도 아우디 도요타를 비롯한 많은 자동차업체가 참가해 모터쇼를 방불케 했다. 자동차에서 전자와 IT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은 좀 더 강화될 전망이다.
“자동차는 많은 사람의 노력과 디자인이 결합된 예술품이죠. 가족과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좋은 예술품입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모터쇼는 레이싱모델 위주였다는 얘기가 나올 정돕니다. 이제부터라도 자동차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도록 전문해설사를 배치하고, 체험도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들 계획입니다.”
“車 탄소세 시장만 왜곡‥통상임금 사회적 합의 필요”
김 회장은 최근 강화하는 규제에 대해서는 걱정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자동차업계에서 가장 우려하는 것은 저탄소협력금제도(탄소세)다. 이제도는 저탄소차 협력금제는 친환경자동차와 소형차 등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이 적은 차량을 구매할 때 보조금을 주고 대형 가솔린차량처럼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차를 살 때는 부담금을 물리는 제도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디젤 기술이 강한 유럽과 하이브리드 기술이 뛰어난 일본 브랜드가 수혜를 보고 국산차는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김 회장은 최근 뜨거운 감자가 된 통상임금 문제도 조심스레 거론했다. 그는 “(노동계가 주장하는 데로) 통상임금이 적용되면 잔업이 많은 자동차업계는 임금 총액이 갑작스레 20~25% 늘어난다”며 “자동차업계 특히 부품업체는 고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법원 판례가 나온 뒤 불리하지만 않아도 법원으로 간다. 너무 혼란스러운 신의칙 싸움이 돼 버렸다”면서 “하루아침에 해결될 수 없으니 사회적 합의 필요한 대목이다. 상식과 건전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근 회장은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1956년생으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23회로 공직에 입문, 산업통상자원부의 전신인 산업자원부 주요 요직을 거쳤다. 산자부 산업정책본부장을 끝으로 공직을 떠난 뒤 한국산업기술재단 이사장, 산업기술 R&D를 총괄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초대 원장을 역임했다. 작년 10월 1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16대 회장으로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