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층 고깃집에 있던 시민들은 연기와 불길을 보고 재빨리 탈출했고, 3층 당구장 사람들도 화염과 유독가스를 확인한 후 창문을 깨고 탈출해 모두 목숨을 건졌다.
|
손님들은 올라오는 연기에 출입구로 몰려갔으나 호프집 측에서 “술값을 내고 가라”며 출입문을 막았다. 그 사이 호프집 내부엔 엄청난 유독가스가 유입됐다. 일부 손님들은 화재 발생 직후 캄캄한 연기 속에서 ‘비상구 등’을 향해 이동했다. 하지만 비상구 등 아래에 있던 문은 화장실 문이었다. 소방점검을 위한 눈속임용 등이었다.
해당 호프집은 창문도 모두 석고보드로 막아버린 상태였기에 손님들의 탈출구는 출입구가 유일했다. 결국 56명이 죽고 78명이 큰 부상을 입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사상자 대부분은 고등학생이었다.
|
정씨는 이 같은 비호 속에서 인천지역 10대 고등학생들 상대로 집중적인 영업활동을 했다. 학교 앞에서 전단지나 할인권을 나눠주기도 했다. 학생들 사이에선 ‘절대 단속되지 않는 술집’으로 입소문이 나기도 했다.
한 경찰관은 의무경찰을 관리하던 방법순찰대장으로 재직할 당시 정씨 호프집 수리를 위해 소속 의경 3명에게 지원 근무를 명령하기도 했다. 경찰관 중엔 이씨 소유 집에서 공짜로 산 경우도 있었다.
당시 불법영업을 제대로 단속하지 않은 경찰관들과 공무원들이 무더기로 징계를 받았고 수사 대상이 됐다. 검찰은 경찰 11명, 시·구청 공무원 7명 등 모두 19명을 재판에 넘겼다.
경찰은 이 같은 상황에서 ‘고위층 비호의혹’을 제기한 고등학생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며 긴급체포를 해 논란을 자초하기도 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화재참사 과정에서 경찰들의 비리가 잇따라 드러나자 경찰청장을 전격 경질했다.
인천시교육청은 화재 참사를 기리기 위해 2004년 참사 현장 인근의 옛 초등학교 부지에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을 건립하고 추모비를 설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