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신한금융투자가 내놓은 베이직하우스 분석보고서다. 이 증권사는 실적전망 조정과 함께 목표주가를 기존 2만1000원에서 33% 내린 1만4000원으로 수정했다.
목표주가와 실적 전망치를 낮추면서도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사라고 한 이유는 단돈 `30원` 때문이다. 이 증권사의 투자등급 제시기준은 보고서 작성일 기준주가보다 목표주가가 15% 초과할 경우 `매수`, 그 이하일 경우 사실상 중립의견인 `트레이딩 BUY`를 제시한다.
경계선인 15%(1만3970원)를 가까스로 넘긴 15.2%(1만4000원)를 목표주가로 제시하면서, 투자자에게 주식을 사라고 할 수 있는 기준을 충족한 셈이다.
같은 날 한국투자증권의 보고서도 비슷하다. 목표주가를 2만4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내리고, 실적전망도 낮췄다. 이 증권사는 4월 말에도 목표주가를 2만8500원에서 2만4000원으로 내렸다. 불과 한 달 사이에 두 번이나 목표주가를 수정하면서도 투자자에게 한결같이 매수를 추천한 것이다.
이처럼 억지스러워 보이기까지 하는 `매수` 추천을 투자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목표주가와 실적 전망치를 수정하면서 정작 투자의견은 꿋꿋하게 `매수`(BUY)를 유지하는 행위는 `주가도 실적도 생각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래도 주식을 사라`는 얘기다.
밸류에이션 매력을 설명하기 위해 주가수익비율(PER) 등 각종 지표가 동원되지만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만큼 엄밀히 말해 `가설`이다. 한마디로 `싸 보인다`는 것이다.
유로존(유로화를 사용하는 17개국) 위기로 침체를 거듭하고 있는 증권가에 `가설`이 난무하고 있다. 수치로도 증명된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DataGuide)에 의뢰해 국내증권사의 리포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달 2일부터 25일까지 코스피 241개, 코스닥 235개 등 총 476개 종목에 대해 3227개 리포트가 발표됐다.
이 가운데 목표주가를 내린 리포트는 324개이며, 실적전망치(IFRS 별도기준 연간 EPS)를 낮춘 리포트는 305개였다. 반면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것은 14개에 불과했다. 주가와 실적 전망 수정이 투자의견에 반영된 것이 100개당 4개(4.3%)에 불과한 셈이다.
같은기간 목표주가를 올린 리포트(190개)대비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한 리포트(29개)의 비율은 15.3%를 기록, 대조를 보였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목표주가나 실적전망과의 괴리도가 심해지면서 투자의견이 갈수록 유명무실화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