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3 총선을 앞두고 20대 청년들이 일자리와 주거, 반값 등록금 문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선거 때마다 되풀이되는 낮은 투표율 탓에 ‘청년=정치 무관심층’이란 비판을 받지만, ‘N포 세대’ ‘헬조선’ 등의 신조어가 유행할 만큼 삶이 팍팍해지면서 현실에 지친 청년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직접 정치판에 뛰어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묻고 따지고..후보자 직접 검증 나선 청년들
지난 6일 저녁 고려대 4·18 기념관 지하 대강당. 고려대 총선 참여 네트워크 ‘권리찾는투표’(권투) 주최로 열린 국회의원 후보자 초청 토론회에 서울 성북 갑 지역에 출마한 각 당의 후보 4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최저 시급 인상, 청년 일자리 문제 등을 두고 후보자 간 열띤 토론이 오갔다. 앞서 지난 1일 서울대 총학생회 주최로 열린 ‘청년이 묻고 정당이 답하다’란 제목의 토론회에서는 학생들이 관악 갑 지역 후보들을 상대로 날 선 질문을 던지며 직접 검증에 나서기도 했다.
20여 개 청년단체로 구성된 ‘2016 총선 청년네트워크’(청년넷)는 지난달 30일 ‘청년 기본법 제정’을 포함해 노동·구직·부채 등 10개 분야에서 12개의 청년 정책 공동요구안을 발표했다. 요구안에는 학자금 대출 등 빚에 허덕이는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신용회복기금 조성 등 구체적인 정책도 담겼다.
45개 대학 총학생회와 청년단체가 만든 ‘대학생·청년 공동행동 네트워크’(공동행동)도 각 정당의 청년 비례대표 후보에게 청년 정책을 제안하고 각 당의 입장을 듣는 시간을 마련했다. 페이스북에서 생중계로 ‘정치인 리얼 검증’을 진행하는 청년단체도 등장했다.
‘문제는 참여’..낙천·낙선 운동, 투표 참여 독려도
낙천·낙선 운동 등 적극적인 의사 표시도 등장했다. 청년단체 알바노조는 최근 ‘알바 5적 국회의원 아웃(OUT) 발표’ 기자회견에서 “최저임금 인상에 미온적 태도를 보인 총선 후보자 5명을 ‘알바 5적’으로 지칭하겠다”며 낙선 운동을 공식화했다.
20대 청년들은 매번 선거 때마다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낮은 투표율을 기록, 사회적 책임감이 결여됐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9대 총선 당시 20대 투표율은 41.5%로 평균 투표율 50.6%보다 현저히 낮았다. 18대 총선 당시에는 28.1%에 불과해 60대(65.5%)의 반 토막 수준이었고 17대 총선에서도 44.7%로 전체 투표율(60.6%)보다 15.9% 낮았다.
그러나 이번 만큼은 달라져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다. 울산이 고향인 권유정(연세대 2년)씨는 소중한 한 표를 버릴 수 없다는 생각에 이번 총선에 사전 투표를 할 생각이다. 권씨는 “스펙을 쌓고 이력서를 열심히 쓴다고 청년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다”며 “정치를 바꾸는 게 근본적인 해답이라 생각해 반드시 투표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내영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그간 청년을 대변할 정치 세력이 없었던 게 사실”이라며 “젊은 층의 투표율이 높아지면 그만큼 정당들이 청년 문제에 더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