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껄 디스하네”…‘홍콩반점’ 기습한 백종원, 음식 먹고 한숨

백종원, 논란의 ‘홍콩반점’ 기습 점검
“가게마다 맛 차이 심하다” 지적 나와
  • 등록 2024-06-04 오전 10:09:58

    수정 2024-06-04 오전 10:09:58

사진=백종원 유튜브 채널
[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내 껄 내가 디스해야 하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자신의 프렌차이즈 중식당인 ‘홍콩반점0410’(홍콩반점) 점검에 나섰다가 지점별로 맛의 격차가 큰 것을 보고 한숨을 내쉬었다.

3일 백 대표의 유튜브 채널에는 ‘내꺼내먹_홍콩반점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여러분의 말씀이 맞았어요’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서 백 대표는 직원들과 함께 홍콩반점의 메뉴를 직접 먹어보고 평가하는 내용이 담겼다. 앞서 구독자들은 “홍콩반점의 맛이 지점마다 제각각”이라며 백 대표에게 솔루션을 요구한 바 있다.

백 대표는 대표 메뉴로 짜장면, 짜장밥, 탕수육을 배달시키고 본격적인 점검에 나섰다. 이들은 정확한 맛을 파악하기 위해 ‘미스터리 쇼퍼’로 가장해 전국 홍콩반점 매장을 돌았다.

사진=백종원 유튜브 채널
한 달여간 이어진 긴 점검 끝에 여러 지점에서 “홀에서 먹는데도 면이 불어 있고, 짜장 소스가 뭉쳐있다”, “면을 잘 안 털어서 그런지 싱겁다”, “엄청 달고 짜다”, “짜장 소스가 부족했고 달걀이 타서 나왔다” 등의 문제가 접수됐다.

백 대표도 음식을 배달시켜 먹어보았다. 제작진이 뽑은 곳 중 A지점에서 배달된 짜장면을 먹은 백 대표는 “여러분들의 말씀이 맞았다”며 “내가 내 걸 스스로 디스해야 하네”라고 허탈한 웃음을 지어보였다.

백 대표는 “면이 삶은 지 오래된 것 같은 식감이다. 미리 삶아놓은 걸 살짝 데쳤거나 오버 쿠킹 된 것”이라고 했다. 푸짐한 달걀 지단이 특징인 짜장밥을 먹고서는 “이 집 짜장은 색깔은 연한데 짜장이 왜 이렇게 짜냐. 소스 아끼려 간장을 넣었나”라고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어서 먹은 B지점은 합격이었다. 백 대표는 “이 정도면 동네 짜장면집 중에서도 잘하는 편”이라며 “진짜 웃기지 않나. 기본을 지키는 곳과 안 지키는 곳이 차이가 난다”고 했다.

사진=백종원 유튜브 채널
한강에서도 홍콩반점 메뉴를 시켜 먹은 백 대표는 C, D지점에 대한 평가를 이어나갔다. C지점은 짜장면과 짜장밥의 맛이 준수한 편이었지만, D지점은 탕수육 튀김옷이 너무 두꺼워 배달 용기에 붙어있거나 고기끼리 붙어 떨어지지 않았다. 백 대표는 이를 두고 “떡탕수육”이라고 지칭했다.

문제는 더 있었다. D지점의 짜장면이 너무 불어 먹기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던 것. 짜장밥 또한 계란에 기름이 너무 많이 들어가 백 대표를 분노하게 했다.

백 대표는 “내가 지금 누구한테 고자질을 하는 거야”라며 “사장님들 이러시면 안 된다. 제가 욕먹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이러면 장사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사진=백종원 유튜브 채널
특히 D지점에 대해서는 “이 집은 레시피를 창조한 거 같다. 자신만의 길을 가고 계신다. 대체 뭔 생각으로 이러는 거야”라고 혹평했고, 즉각 담당자에게 전화를 걸어 “사무실 돌아가지 말고 지금 바로 D지점에 가 봐라”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이런 집들 때문에 잘하는 다른 홍콩반점들이 욕먹고 있다”고 탄식했다.

홍콩반점 담당자들과 대책 회의를 진행한 백 대표는 “메뉴얼에 있는 레시피 그대로만 하면 되는데 그걸 안 보니까 문제”라며 “간단하게 따라 해도 기본은 나올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를 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홍콩반점은 백 대표가 2006년 서울 논현동에 처음 오픈한 프렌차이즈로, 지난해 12월 기준 매장 수 323개로 12년 연속 중식 브랜드 매장 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어깨 깡패' 유지태 슈트핏
  • '57세'의 우아美
  • 엄마 나 좀 보세요~
  • 우승 사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