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원 신청에는 아주대, 단국대 등 학생 수 50인 이하의 미니 의대가 앞장서고 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만으로 정부와 의료계의 충돌이 해결 수순에 들어섰다고 볼 수는 없다. 대다수 의대는 ‘교육 여건 미흡’ 등을 이유로 대학 본부와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어 최종 결정 과정에서 학내 갈등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장 등으로 구성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연간 350명 정도 확대하는 게 적절하다고 최근 밝힌 게 그 증거다. KAMC 측은 대학별 정원 수요 조사 기한을 늦춰 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의료 현장의 혼란이 장기화하면서 의사 집단을 바라보는 시선은 싸늘해지고 직역이기주의 비판도 거세졌다. 김정은 서울대 의대 학장은 그제 비공개 졸업식에서 “의료계가 따가운 질책을 받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윽박지르기식 문제 해결과 결사항전식의 버티기는 어느 쪽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학의 자율성과 교육 여건을 고려한 순차적이고도 지속적인 증원이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위험에 노출된 국민 생명과 보건을 걱정한다면 양측 모두 한발 물러서서 속히 접점을 찾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