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이 ‘정치’를 언급한 것은 취임사의 거의 마지막에 이르러서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특권 없는 사회’나 이명박 전 대통령의 ‘선진화 원년’등 역대 대통령들이 정치 개혁을 주요 화두로 제시한 것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다.
반면 대선 기간 계속 강조했던 ‘정치 쇄신’은 이날 취임사에 등장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정치쇄신을 자신의 국정지표 중 하나로 제시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대선 막판에는 개헌을 꺼내기도 했다. 배종찬 리서치 앤 리서치 조사본부장은 “정치쇄신·세대 통합에 대한 뚜렷한 언급이 없다”며 “대통령 취임사는 5년 동안 국정을 어떻게 운영할 지에 대해 말하는 것인데 너무 추상적”이라고 평가했다. 박 대통령이 국정 운영의 한 축이라고 강조해 온 야당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언급도 보이지 않았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 임명 등으로 더욱 경색된 대야 관계를 고려하면 향후 국정운영아 험난할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배 본부장은 “국정운영에 대한 발표를 통해 국가 비전을 제시한다는 점에선 긍정적이지만 입법과정에서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며 “자칫 잘못하면 일방통행적 사고방식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