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1주일 만에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미일 정상통화를 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의 통화에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통화하며 미묘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한-우즈베키스탄 화상 정상회담에 앞서 샤프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28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통화 일정은 아직 미정이다. 전날 스가 총리가 미일 정상통화를 한 뒤여서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간 첫 전화통화에 관심이 집중된다. 멀지 않은 시일 내 통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이날 오전 출근길에 “제가 알기론 한-미 양국 정상 통화도 곧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총리는 30분간 통화에서 인도 태평양 전략의 실현이라는 공동된 목표에 대한 협력을 재확인했다. 스가 총리는 아울러 미일 정상회담 시기를 놓고 “코로나19 감염 상황을 지켜보면서” 판단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앞서 지난해에는 방미 일정으로 “가능하면 2월을 목표로 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대통령이 새로 취임한 이후 어떤 순서로 정상통화를 진행하느냐는 호사가들의 관심사가 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주변국→유럽→아시아 순으로 취임후 정상 통화를 진행하는 중이다. 스가 총리와 통화가 있었던 만큼 문 대통령도 이르면 28일 밤이나 늦어도 29일께 통화를 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20년 동안 미국 대통령들은 한국보다는 일본과 먼저 통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7년 1월28일(현지시각)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통화하고 한국과는 하루 뒤인 29일(현지시각)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전화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 역시 2009년 1월28일 아소 다로 일본 총리와 전화한 뒤 5일 후인 2월2일 이명박 대통령과 유선으로 소통했다. 조시 부시 대통령 때도 마찬가지다.
다만 일각에서는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하기 전 문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먼저 통화를 한 점에 아쉬움을 피력하는 의견도 나온다. 미중 갈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막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에 앞서 시 주석과 먼저 통화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문제제기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 “한-중 정상통화는 한국과 중국의 설 연휴 및 춘절을 앞두고 신년인사차 추진됐다”고 진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