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의 핵심 지표인 소매판매도 4월 전년동월대비 11.1% 하락했다. 중국이 극도로 혼란에 휩싸인 우한사태 초기인 2020년 3월(-15.8%) 이후 최악의 수준으로 추락한 것이다.
이에 중국 내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현금 지급 방식으로 소비를 촉진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이 넘는다. 소비 회복이 느려지면 경제 성장 자체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각 지방정부에서 할인 바우처 등을 나눠주고 있지만 직접적인 소비를 이끌어내진 못하고 있다.
야오양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 원장은 최근 한 포럼에서 “현금을 나눠주면 사람들은 즉시 소비에 자신감을 가지게 될 것”이라면서 “경제에 대한 신뢰가 개선되고 소비와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염병이 점진적이고 분명하게 약화할 때가 소비 부양 정책 도입의 적기”라며 “중국 정부가 현금지급을 위해 지방정부 채권 발행을 승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리다오쿠이 칭화대 교수 역시 최근 “코로나19 피해 주민들에게 현금을 지급해 구제하고 소비를 촉진해 경제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루밍 상하이교통대 초빙교수는 “지원금 지급을 통한 경기 부양책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며 현금·소비쿠폰 등 가용한 방법을 동원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중국에서 한국의 재난지원금과 같은 현금을 지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구가 14억명이라는 점에서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또 지역 불균형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커창 총리는 1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도 인프라 건설을 위한 정책은행의 신용대출 한도 8000억 위안(약 150조원) 확대, 1400억 위안 이상의 세금환급액 7월 중 지급, 취약층 지원 등을 언급하면서도 현금이나 소비쿠폰 카드를 꺼내지 않았다.
류위안춘 상하이재경대학 신임 총장은 SCMP에 “많은 정부가 올해 돈을 나눠준 뒤 내년에 어떻게 할지 고민하고 있다”면서 “보조금 규모가 다르면 불공정성이 과소비보다 더 골치 아픈 문제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