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곳곳 ASF 발생…방역 저지선 위태
2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ASF는 경기 일대 총 4곳에서 발생했다. 지난 16일과 17일만 해도 접경지역인 파주시와 연천군에서 발생했지만 23일 한강 아래쪽에 위치한 김포에서도 확진이 나왔다. 이날 인천 강화군에서도 ASF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서 경기 전역으로 바이러스가 번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파주·연천 등 6개 시·군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집중 소독과 일제 검사를 실시하는 등 방역 체계를 강화했지만 잇따라 ASF가 발생하면서 초기 대응이 미진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4차 발생농장인 파주 적성면 농장의 경우 이미 지난 20일 정밀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이후 돼지 유산증상을 발견해 의심 신고했고 확진 판정을 받았다.
특히 1차 발생농장이 충남·경북 등에 위치한 농장과도 일부 차량 역학관계가 있던 것으로 알려져 다른 지역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기와 바로 접한 충남 지역은 전국 사육돼지가 5분의 1 가량이 밀집한 국내 최대 양돈지역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기준 전국 사육돼지는 1132만여두인데 이중 충남에만 약 230만두가 몰려 있다. 충남과 인접한 전북과 충북에서도 각각 약 136만두, 63만두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이어 경북(141만두), 경남(130만두), 전남(113만두) 등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돼지농장들이 대거 위치했기 때문에 ASF 확산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지금까지는 사육돼지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충남 이남으로 번질 경우 대단위 살처분 등 조치 여파가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예방적 살처분의 범위를 500m에서 3km내로 늘리는 등 기존 지침보다 강화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한 양돈업계 관계자는 “충남 지역의 양돈산업은 전국 최대 규모인데다 홍성군 등 특정 지역에 돼지농장이 밀집한 곳이 많다”며 “아직까지 충남 전파 가능성은 낮지만 방역 차단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염 경로 여전히 미궁…확산 방지 총력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감염원 파악이 급선무지만 감염 경로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확히 밝혀진 것이 없다. 여기에 북한 지역 ASF 상황이 알려진 것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북측으로부터의 유입 우려만 커진 상태다.
북한 전역에 ASF가 퍼졌을 경우 하천의 사체 유입이나 야생멧돼지 침입 등을 통한 감염 가능성을 높게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북한 전역에 ASF가 번졌다면 (태풍에 따른) 폭우나 멧돼지 등을 통한 감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며 “방역대 내 하천 오염 정도나 야생멧돼지 포획, 폐사체 확인을 통한 개체 검사를 빨리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ASF 확산 방지를 위해 23일 오후 7시 30분부터 48시간 동안 경기·인천·강원 지역에 일시이동중지명령(Standstill)을 발령했다. 3주간 돼지 반출 금지와 집중 소독을 실시하는 중점관리지역은 기존 경기 북부 6개 시·군에서 경기도·인천시·강원도 전체로 확대한다. 이를 다시 4대 권역으로 구분해 3주간 돼지와 가축 분뇨의 다른 권역으로 이동·반출을 금지한다. 또 접경지역의 집중 방역을 위해 주변 하천과 도로 등 대상으로 집중 소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긴급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우리의 방역이 완전치 못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고 내부 확산을 막아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라며 “선제적 방역 대응은 약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단호하고 신속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