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방송 노조는 31일 성명서를 통해 “김 대변인이 평소에 갖고 계셨던 정치적 신념은 자유다. 하지만 그 행보에 저희를 제물로 삼지 말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김 대변인은 재직 시 당시 보도부문 사장과 보도국장으로부터 위와 같은 말을 들었다고 알고 있다. 당시 상황을 녹취했다는 얘기도 공공연히 들린다”며 “실제로 정치적 이유로 영향력을 행사한 인사가 있는지 근거는 찾으셨나”고 물었다.
또 “사측은 이사회 입장문을 통해 ‘외부세력의 지나친 정치적 경영간섭’을 폐업의 이유로 들었지만, 노조는 그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
그러면서 “경기방송 노조는 새로운 출발을 앞두고 있다”며 “그 길이 김 대변인이 던져놓고 간 의혹과 프레임으로 인해 왜곡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김 대변인이 20여년 몸 담았던 경기방송을 떠났지만, 함께 했던 선후배들은 해고예고 통보를 받고 망연자실해 있다”며 “당신의 대변인으로서의 첫 행보는 폐업에 근거 없이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정치적 프레임을 걷어내는 일”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김 대변인은 경기방송 청와대 출입기자로 근무하던 지난해 1월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서 “경제 기조를 안 바꾸는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건지, 근거는 무엇인지 단도직입적으로 묻는다”는 질문으로 여권 지지자들의 거센 비판을 샀다.
이에 대해 방통위는 “재허가 심사는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친 후 이를 바탕으로 방통위가 의결하는 절차로 진행됐다”며 “심사 과정은 물론 방통위 의결 과정에서도 김예령 기자의 질의와 관련된 사항은 전혀 검토되거나 논의된 바가 없다”고 일축했다.
김 대변인은 경기방송 퇴사 후 미래통합당 비례정당인 ‘미래한국당’의 공천을 신청했으나 탈락했다. 그가 몸담았던 경기방송은 지난달 30일 0시부로 방송을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