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 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부 장관은 이날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그러나 분쟁 해결 방법에 있어선 다른 의견을 보였다. 라브로프 장관은 틸러슨 장관에게 “미국의 공격적 수사가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이는 용납할 수 없다”며 북한과 대립각을 세워선 안된다고 권고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그러면서 미국이 북한과 협상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틸러슨 장관에게 “더 똑똑하고 더 강한 쪽에서 첫 발걸음을 떼야 한다. 우리는 미국에 (대화 등) 외교적 수단을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안다”며 미국이 먼저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러시아 크렘린궁도 “러시아는 북한과 미국의 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을 맡을 준비가돼 있다”며 “다만 러시아가 먼저 나서서 중재를 할 수는 없다. 북한과 미국 양측의 동의와 의지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해서도 미국과 러시아는 다른 시각을 드러냈다. 틸러슨 장관은 라브로프 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를 진정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지난 19일 러시아가 휴전 모니터링 기구 공동통제및조정위원회(JCCC)에서 철수시킨 대표단을 복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틸러슨 장관은 NYT 기고문에서도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한 평화적 해결 없이는 러시아와 정상적인 거래가 있을 수 없다”고 못 박았다.
하지만 러시아를 설득하기엔 역부족이었다. 미 정부가 지난 22일 우크라이나 정부군에 ‘재블린’ 대전차 미사일을 비롯한 방어용 살상 무기를 직접 공급하기로 결정, 한편으론 분쟁 심화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이같은 미국의 움직임이 우크라이나에서의 갈등을 격화시킬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세계 각지의 분쟁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미 국무부·국방부 관료들이 블라디미르 대통령 및 러시아 정부 관료들과 수차례 협상을 시도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WSJ은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8일 발표한 새 국가안보전략(NSS)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를 ‘전략적 경쟁자’로 규정하고, 2014년 크림반도 병합과 민주주의에 대한 공격 등을 문제 삼아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