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퀀텀에너지연구소 등 국내 연구진이 상온 초전도체라고 주장하는 물질 LK-99에 황을 첨가한 신물질 PCPOSOS를 지난달 미국물리학회 3월 회의에서 발표한 가운데 같은 분야 연구에 대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린다.
|
로체스터대가 외부전문가 검증위원회에게 맡겨 10개월간 16개 혐의에 대한 조사 결과, 검증위는 디아스 교수가 부정행위를 저질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디아스 교수는 2020년 네이처에 발표한 첫 논문을 통해 탄소, 황, 수소가 들어간 화합물에서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3년 뒤 게재한 두 번째 논문에서도 루테튬과 수소 화합물에서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자료 출처, 논문 데이터 문제 등을 이유로 각각 철회됐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지난해 우리나라 퀀텀에너지연구소의 LK-99 상온 초전도체 논란과 함께 이를 ‘올해의 실패’ 사례로 꼽기도 했다.
로체스터대 조사위는 조사 과정에서 컴퓨터 하드디스크, 이메일, 노트북 등의 자료를 확보했다. 디아스 교수와 그의 전 제자 등 사건 관련자 10명과 만나고 50회 이상 심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미국 법원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2편의 네이처 논문을 포함해 지금까지 철회된 그의 논문 4편에서 디아스 교수가 저지른 위법행위를 상세하게 수록했다. 하드 드라이브에 있는 원시 데이터를 찾아냈고, 데이터에서 전기 저항 데이터 등을 누락시키고, 마이스너 효과(부상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루테튬 화합물 데이터를 조작한 것을 확인했다. 조사위는 “디아스 교수가 공공이나 민간 자금을 지원받는 연구를 수행하거나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라며 “이번 조사에서 밝혀진 증거는 그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권고했다.
현재 초전도체와 관련해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지원사업을 통해 탐색 등 일부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최경달 한국초전도저온학회장(한국공학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은 “거짓으로 논문을 쓰거나 데이터를 조작하는 사례들이 많은데 동료 연구자들의 재현과 실험을 통한 입증의 중요성을 알려준 사례”라며 “해외 대학 풍토상 디아스 교수는 이번 사건으로 학계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설명했다.
LK-99와 PCPOSOS에 대해서는 검증위가 오랜 기간 조사한 만큼 학회 입장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최 학회장은 “LK-99에 대해서는 지난해 상온 초전도체라고 보기 위한 근거가 없다고 결론을 내렸고, 이후 학회 입장은 달라지지 않았다”라며 “다만 초전도체에 대한 정부 관심이 늘어 과기정통부 등을 통한 신물질 탐색 등 일부 연구에 대한 지원이 일부 있는 것으로 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