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 이데일리 김대웅 특파원] 중국 공유경제의 끝은 어디일까. 자본과 기술의 힘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공유경제가 그 범위를 급속도로 넓히며 중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차량과 자전거 수준에서 시작된 공유문화가 이제는 가전제품과 주차장, 주택 등으로 번지며 중국인의 일상을 지배하는 수준까지 와있다. 경쟁이 과열되다보니 도산하는 기업들도 속속 생겨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일단 시장 파이를 키울 수 있는데까지 키워보겠다는 심산인 듯하다.
자전거에서 시작된 공유경제 `빅뱅`
14억 인구의 중국 대륙이 공유경제에 푹 빠졌다. 웬만한 중소도시 이상에 사는 중국인이라면 공유 자전거 한번쯤 타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다. 베이징이나 상하이 같은 대도시에서는 이미 일상 깊숙이 침투했다. 우연히 접한 중국 공유경제의 매력에 푹 빠졌다는 이들이 많다. 아무데서나 잡아타고 아무데나 세워두면 그만인 공유 자전거가 있으니 지하철역에서 약속장소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적잖이 단축된다. 휴대폰 배터리가 아슬아슬해도 지하철역 등 곳곳에 있는 공유 배터리 자판기에서 보조배터리를 대여해 충전하면 되니 걱정이 없다. 1인 가구를 위한 공유 세탁기나 노상 농구장마다 비치돼 있는 공유 농구공 등도 이용할수록 참 편리하다는 체험담이 쏟아진다.
이같은 공유경제 붐은 지난해부터 폭발적 인기를 얻기 시작한 자전거에서 비롯됐다. 중국 공유 자전거 업계를 대표하는 양대기업 모바이크(mobike)와 오포(ofo)가 대학가의 자그마한 벤처기업에서 시작해 단기간에 기업가치 수조원대로 성장한 것을 목격한 중국인들은 현재 공유경제 관련 창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제 2의 오포·모바이크가 되겠다는 목표하에 다양한 방식의 공유경제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내수시장 규모가 엄청나다보니 절반의 성공만 거둬도 한국에서 초대박 수준의 성과를 올리게 된다.
우산·주택·와이파이도 공유…일상 속으로
중국 공유경제의 대표격인 공유 자전거도 여전히 성장가도를 달리며 관련업체가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나고 있다. 전국적으로 공유 자전거업체만 수백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전거가 넘치다보니 도심 흉물이 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지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눈에 보이는대로 자전거를 타고 아무데나 세워두면 그만이니 편리함은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 공유 자전거 업체로서는 이용료 뿐 아니라 최초 가입시 맡겨야 하는 일종의 보증금을 통해 또다른 파이낸싱사업이 가능해 고금리 사회인 중국에서 더욱 매력적이라는 평가다.
580兆 시장 규모…연간 40% 성장 전망
중국 정부가 발표한 `2017 중국공유경제발전보고`를 보면 작년말 기준 중국 공유경제의 시장 규모는 3조4520억위안(약 580조원)으로 전년 대비 103% 급증했다. 공유경제 주요 산업별 매출액 증가율은 지식공유(205%), 주택공유(131%), 의료서비스 공유(121%)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폭발적 성장세를 감안하면 시장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6%대 중속 성장 중인 중국 경제 상황에서 중국의 공유경제는 10배 안팎의 속도로 초고속 성장을 거듭하면서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히기 시작했다. 공유경제는 중국에서도 최근 몇 년 사이에 활성화된 개념으로, 사실상 제도가 실상을 따라가지 못하는 추이가 지적되고 있을 정도다. 중국인터넷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공유경제는 향후 연간 40%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공유경제 서비스를 받은 사람이 6억명에 달하며 공유경제 플랫폼 고용인력은 585만명으로 전년대비 85만명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新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
공유경제 성장으로 중국정부는 이를 경제성장의 주요 수단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공유경제가 창출하는 일자리와 창업효과를 취업과 창업 촉진정책의 일부로도 취급하려는 모습이다. 중국 최대 차량공유서비스업체인 디디추싱에 따르면 지난해 디디추싱이 창출한 일자리는 1750만개에 이르고 주요 공유주택 서비스인 샤오주, 투자, 주바이 등 플랫폼이 창출한 일자리 역시 200만개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공유경제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지난 21일 국무원 회의에서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침을 승인했다. 공유경제 플랫폼 사업자나 자원 제공업체, 공유경제 소비자들의 합법적 권리를 보호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지침은 공유경제가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정책 집행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혁신을 위한 우호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리 총리는 “중국 경제성장에 새로운 동력으로 공유경제를 신뢰해야 한다”며 “인터넷을 활용한 공유경제가 과잉생산을 흡수하고 다양한 신사업 모델을 통해 고용을 창출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공유경제의 효용성을 강조했다. 그는 텐센트의 메신저 위챗을 예로 들며 “처음 위챗이 생겼을 때 곳곳에서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우리는 반대의 목소리를 견뎌내고 일단 한번 보고 나서 규범화하기로 했다”며 “그때 옛날식으로 규제했더라면 아마 오늘날의 위챗은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기술 기반의 공유경제에 대해서도 규제보다 장려 정책을 택하며 시장 성장의 발목을 잡지 않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