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 당국자는 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회 일부 움직임에 대해 외교당국이 대응하는 것은 외교관례에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미국 내 목소리를 균형있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면서 미 의회에 종전선언, 평화협정 체결,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 등을 담은 한반도평화법안이 대표발의된 것을 언급했다. 민주당 소속 브래드 셔먼 연방 하원의원이 주도한 이 법안에는 32명이 서명했으며 공화당 소속 앤드 빅스 하원의원도 지지했다. 아울러 지난 11월에는 셔먼 의원 등 23명의 미국 연방 하원들이 신속한 종전선언과 북미 대화 재개를 촉구하는 서한을 바이든 대통령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 당국자는 김 의원 등이 보낸 서한 내용에 대해서도 일부 오해가 있다고 지적했다. 먼저 “섣부른 평화조약은 북한이 주한미군 폐기를 요구하고 2만 8500명의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전제조건이 될 수 있다”는 주장에 “종전선언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평화협정이 아니다”라며 “현재 정전체제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을 것이며 주한미군, 유엔사의 지위 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종전선언은 북 핵무기가 완전히 제거된 이후에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그는 “평화협정은 완전한 비핵화 시점에 추진해야 하지만, 종전선언은 대화 재개, 비핵화 협상의 마중물로 활용할 수 있는 출발점”이라며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한은 “그동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은 그가 개인적으로 ‘시기상조’라고 규정한 종전선언 추진에 어떤 관심도 보이지 않다”고도 지적했다. 그러나 이 당국자는 “남북은 정상간 통화와 판문점선언 등을 통해 종전선언을 하기도 했다”며 “9월 29일에는 종전선언을 언급하며 대내외적으로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다”고 반박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향후 입장을 예단하지는 않겠지만 고위급 차원에서 종전선언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 만큼 대화가 재개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