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19일 오전 10시30분께 서울 시내 한 편의점. 차현진 한국은행 금융결제국장이 A사의 1900원짜리 컵커피를 사들고 계산대 앞으로 갔다. 그가 꺼낸 건 1000원짜리 지폐 두 장과 카드 한 장. 그러자 편의점 직원은 기다렸다는 듯이 2000원을 건네받고, 그 카드에 바코드를 찍었다.
차 국장이 내민 카드는 동전적립 교통카드(비매품)다. 그러니까 지폐 2000원을 주고나서 잔돈 100원을 거슬러 받은 게 아니라 카드에 적립을 받은 것이다. 현금 거래에서 동전 자체가 사라진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편의점 입장에서도 굳이 동전을 준비하지 않아도 돼 편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전 없는 사회’ 20일 시범사업
‘동전 없는 사회(coinless society)’가 현실화한다.
차 국장의 시연은 한은이 그린 동전 없는 사회의 초기 모습이다. 당장 오는 20일부터 전국의 주요 편의점과 대형마트에서 할 수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이를테면 CU에서는 티머니(한국스마트카드)를 통해 잔돈을 거슬러 받을 수 있다. 따로 동전을 받지 않고 카드에 적립한 뒤 이를 대중교통 혹은 티머니가맹점에서 사용하는 식이다. CU에서는 티머니 외에 캐시비(이비카드), 하나머니(하나카드), 신한FAN머니(신한카드·5월 중 시행) 등으로 잔돈을 받을 수 있다.
세븐일레븐에서는 캐시비(이비카드), 네이버페이포인트(네이버), L.Point(롯데멤버스·7월 중 시행) 등을 사용 가능하다. 위드미와 이마트에서는 SSG머니(신세계I&C)를, 롯데마트에서는 L.Point(롯데멤버스)를 각각 쓸 수 있다.
한은이 이를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동전이 ‘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동전이 잘 쓰여지지는 않는데, 한은은 매년 꾸준히 동전을 제조하고 있다. 그 제조비용만도 한 해 수백억원 규모다. 지난해 한은의 동전 제조비용은 537억원이었으며, 2014년과 2015년은 각각 408억원, 539억원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이미 신용카드를 주로 쓰는 이들에게는 의미가 없지만, 동전을 상대적으로 자주 쓰는 학생들이나 어르신들은 동전적립카드를 이용하면 더 편리할 것”이라고 했다.
“재래시장서도 활용 방안 고민”
다만 이 시범사업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확산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특히 기존에 갖고 있는 체크카드에 동전을 적립할 수 있는 방식보다 시범사업은 다소 불편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한은의 설문조사에서도 계좌입금 방식이 더 선호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동전을 많이 쓰는 어르신들이 이런 방식에 쉽게 적응할 수 있을지도 장담이 어렵다.
한은 관계자는 “동전 없는 사회를 더 보편적으로 하기 위해 계좌입금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면서 “재래시장 혹은 노점상에서도 전자지급 수단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